인도네시아, 거대한 공장이자 시장으로 변신 > 경제∙비즈니스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도네시아, 거대한 공장이자 시장으로 변신

경제∙일반 작성일2017-08-22

본문

지난달 22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 하이퐁시 중심가는 평소 주말과 달리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커피전문점 스타벅스가 수개월 동안의 인테리어 공사를 마치고 이날 오전 문을 열었는데, 이곳 커피를 맛보려는 하이퐁 시민들이 대거 몰리면서 주변 교통이 마비된 것. 한 현지인은 “대기 줄이 바깥 인도와 차도까지 이어지면서 30분 이상 기다려야 했다”라며 “스타벅스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사실에 힘든 줄 몰랐다”고 말했다. 인구 200만의 한적한 항구도시에서 가게 앞에 줄을 선다는 것 자체가 신선한 경험이었다는 얘기이다. 매니저 냐(30)씨는 “개업 이후 하루 1,000잔 이상 판매하고 있다”며 “이 중 70~80%가 관광객이 아닌 현지인 손님의 주문”이라고 말했다. 이곳에서 판매하는 카페라테 한 잔(특대형) 가격은 현지 노동자들의 하루 밥값과 맞먹는 8만동(약 4,000원)에 이른다.
 
공장이 시장으로 ‘상전벽해’

하이퐁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ㆍ아세안) 내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도시 중 하나다. 베트남은 지난해 6.2%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각종 공장이 들어서고 있는 하이퐁은 그 두 배 가까운 11.0%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산업생산량은 작년 동기 대비 20.6% 늘었다. 이 같은 성장세를 발판으로 상반기 소매ㆍ서비스 부문 소비는 지난해에 비해 13.9%가 증가, 수도 하노이(7.5%)를 약 두 배 높은 수치로 앞질렀다.
 
스타벅스뿐만이 아니다. 대형쇼핑몰 빈콤몰이 작년 초 본격 가동되면서 입점한 피자전문점 카우보이잭, 대형슈퍼 빈마트 등 각종 프랜차이즈 매장들도 대박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하이퐁 거주 9년 차의 한 교민은 “2년 전 1,800만동(약 90만원)하던 번화가(반까오) 상가 월세가 3,300만동으로 뛰었고 그마저도 구하기 힘들다”라며 “어떤 상점이든 열기만 하면 ‘대박’일 정도로 소비 바람이 불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근, 한국 기업들이 많이 입주해 있는 인구 180만명의 땅그랑도 비슷한 사례. 2015년 인도네시아 전체 성장률이 4.9%에 머문 동안 이곳은 8.9%나 성장했다. 이도 생산과 소비부문이 쌍끌이로 경제성장을 견인한 덕분이다. 외국 기업들이 ‘저임금’을 노리고 공략한 생산기지가 어느새 돈 냄새 진동하는 거대한 시장이 되고 있는 것이다. 자카르타 주 아세안 대표부 관계자는 “한국 기업들이 아세안을 제3국 수출 전초기지로 삼았지만 이젠 소비시장으로 인식하고 공략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세계 3위 시장, 5위 경제규모
 
중국, 인도에 이은 인구 6억3,500만명의 세계 3위 시장, 경제 규모 세계 5위의 아세안은 창설 반세기 동안의 무분쟁(전쟁) 기록과 지역통합을 바탕으로, 지금 이 순간에도 빅마켓으로 몸집을 키우고 있다. 매년 싱가포르 인구보다 많은 수(600만)만큼 증가하고 있고, 말레이시아 인구에 필적하는 노동력(2,600만명)이 늘어나는 등 명실상부한 세계 경제의 엔진이다. 평균 연령 30세로 한국보다 10세 젊고, 2015년 출범한 아세안경제공동체(AEC)는 이들의 성장을 가속화 시킬 것이라는 게 정설이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닐슨과 알파베타는 최근 아세안 지역의 소비시장 동향과 전망을 담은 보고서 ‘아세안 다시 생각하기(Rethinking ASEAN)’를 통해 ▦역내 통합과 ▦젊은 인구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도시화 등으로 아세안의 가파른 성장 잠재력을 주목하면서 소비시장의 무게 중심이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옮겨질 것으로 전망했다. 수담 파워 메콩연구소 혁신ㆍ기술연계성 부문장은 “국가도 국가지만 아세안의 성장은 지역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며 “메콩강을 끼고 있는 지역의 시장규모가 미국과 비슷한 3억명인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세안의 일반 소비재, 유통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백화점 팍슨(Parkson), 일본 이온(AEON)몰에 이어 태국 센트럴그룹이 빅C를 인수, 유통시장 확보전에 가세했다. 특히 중국 알리바바가 지난해 동남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라자다를 인수한데 이어, 미국 대표 아마존은 지난달 싱가포르를 통해 동남아 시장에 진출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을 놓고도 불꽃이 튀고 있다. 고영경 말레이시아 UNITAR 국제대 교수는 “아세안 10개국의 경제발전 정도와 상황이 다르다”며 “싱가포르와 말레이, 태국, 인도네시아는 전자상거래가, 미얀마와 캄보디아는 대형마트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에겐 여전히 먼 ‘소비시장’

한국은 지난해 총수출 4,955억달러 중 약 15%에 해당하는 745억달러어치를 아세안으로 실어 보냈다. 하지만 대 아세안 수출 품목을 보면 반도체의 경우 전체 수출의 19.2%(107억달러), 휴대폰 부품 32.4%(54억달러), 선박 17.7%(39억달러), 경유 34.9%(32억달러) 등으로 전체 수출을 이끌었지만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소비재는 거의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자동차의 경우 전체 수출액의 2.9%(10.7억달러)만 아세안으로 선적되는 데 그쳤다. 일찌감치 아세안을 소비시장으로 보고 현지에 진출한 CJ, 롯데, 오리온 등 한국 기업들이 있지만 한국의 주력산업인 자동차는 아세안에서 죽을 쑤고 있다는 뜻이다.
 
동아시아ㆍ아세안 경제연구소(ERIA) 폰치아노 인탈 박사는 “한국은 아세안과 협력관계를 강화했지만 일본, 유럽연합, 미국, 호주와 달리 아세안 역내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못했다”며 “아세안 공동체 중 하나인 경제공동체(AEC)는 현재 진행형인 만큼 현대차 등은 아직 만회할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공지사항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