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의약품시장 2021년 101억弗 볼륨
본문
전문약 비중 62%..외자기업 지분률 100%까지 허용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대상국가 가운데 한곳인 데다 지금까지보다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유망한 마켓으로 손꼽히는 인도네시아의 의약품시장이 확대를 지속할 수 있을 전망이다.
영국 런던에 글로벌 본사를 두고 있는 비즈니스 정보 서비스‧컨설팅기관 글로벌데이터社는 지난 13일 공개한 ‘컨트리포커스: 인도네시아의 의료관리, 규제 및 급여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예상했다.
보고서는 인도네시아 의약품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핵심요인들도 외국인 투자유치에서부터 오는 2019년 전국민 의료보험을 목표로 하는 ‘국민건강 보장제도’(JKN: Jaminan Kesehatan Nasional)의 시행 등 최근 속속 도입된 15개 경제정책들과 함께 도시 거주인구의 확대 등을 꼽았다.
반면 불충분한 공적‧사적 인프라와 전통의약품 및 가짜(counterfeit) 의약품의 범람, 취약한 의료비 지출실태 등은 도전요인들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보건부(MoHRI)는 의약품 제조관리 뿐 아니라 상한가 규제, 484개 달하는 ‘국가 필수의약품 리스트’(NLEM) 등재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15년 현재 이 나라 의약품시장의 62%는 전문의약품, 브랜드-네임 제품 및 제네릭 제품들에 의해 점유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8%는 OTC 의약품들의 몫이었다.
글로벌데이터社의 샤라트 찬드라 애널리스트는 “인도네시아 보건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이 나라에는 총 215개의 제약기업들이 존재하는데, 이 중 70%가 국내기업들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합작기업들에 대한 지분률 규제가 완화되면서 이전까지 75%를 상한선으로 제한되었던 외자사들의 지분률이 현재는 100%까지 허용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2015~2025년 기간 동안 제약산업에 대한 투자액이 총 198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15년 현재 인도네시아 의약품시장에서 제네릭 제품들은 6억1,9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면서 전체 시장의 10.8%를 점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점유율은 ‘국민건강 보장제도’의 도입에 따라 차후 한층 확대될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보고서는 인도네시아의 의료기기 시장에 대해서도 눈을 돌렸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18년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은 35억4,00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아직은 이 나라의 국내 의료기기 산업이 저개발 상태여서 수입제품들이 90% 이상의 비중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의료기기 수입액은 10억4,000만 달러여서 2015년에 비해 42.5%나 급증했음이 눈에 띄었다.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품 의료기기들은 0~5%의 수입세와 10%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되고 있다.
FDA의 허가를 취득하고 미국에서 발매 중인 의료기기 제품의 경우 인도네시아에서 수월하게 승인받아 유통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찬드라 애널리스트는 “지난 2012년 공개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의료기기 지침을 보면 전체 회원국에서 단일한 규제제도가 적용되도록 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며 “덕분에 외국기업들의 투자유치가 활기를 띄었고, 실제로 2015년 들어 ASEAN 10개 회원국들이 단일 규제제도에 합의해 오는 2020년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지난해 7월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3단계 면세제도를 짚고 넘어갔다.
80만 이상의 납세기관들이 면세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은 덕분에 국내총생산(GDP)의 40% 및 통화량의 90%에 달하는 4,335억 달러 상당의 자산에 대한 소득신고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찬드라 애널리스트는 “가난과 높은 실업률 퇴출, 인프라 개발 등 최근 인도네시아의 발전이 부쩍 눈길을 끈다”며 “아직 국가채무가 늘어나고 있지만, 해외차관의 점진적인 감소와 인프라 투자확대 등에 힘입어 지난 2004년 56.6%에 달했던 GDP 대비 부채비율이 2016년에는 20%로 급감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뒤이어 “지난해에 비해 5% 이상의 GDP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내수의 진작과 안정적인 정치상황, 보수적인 거시경제 정책 등에 힘입어 인도네시아를 향한 외국인 직접투자가 촉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