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임박…인도네시아도 금융불안 대비해야
본문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재닛 옐런 의장(사진)은 2일(현지시간) 경제전망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금리정책 정상화의 개시를 너무 오래 미룰 경우 추후 경제 과열을 막기 위해 상대적으로 갑작스럽게 긴축정책을 취해야 하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는 이르면 오는 15∼16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2008년 이래 계속된 제로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세계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물론 세계 자산시장에도 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우선 2008년 이후 지속된 '양적완화'라는 선진국 통화정책의 공조가 깨질 것으로 보인다.
경제상황이 비교적 견조한 미국은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금리를 올린다지만 유럽이나 일본 등 다른 선진국은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해 금리를 올릴 상황이 아니다. 연준과 함께 세계 금융을 주도했던 유럽중앙은행(ECB)은 파리 테러 등으로 경기 불안이 가중되자 추가 양적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신흥국 역시 원자재 가격 하락, 내수와 수출 부진 등으로 침체의 늪에 빠져 있다.
선진국의 통화정책이 엇갈리면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증폭될 우려가 있다. 금리 인상의 속도가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국제 투자자금의 블랙홀이 될 수 있다. 신흥국은 물론 유럽이나 일본 등에 투자됐던 외국 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하반기 이후 달러 가치가 이미 20% 정도 뛰었다. 반면 석유, 석탄, 금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 압력을 받으면서 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신흥국의 시름은 더욱 깊어졌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요 7개 신흥국의 민간부채 규모도 위험 수준으로 평가했다.
편집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