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정부는 2015년 1월부터 해외에서 수입되는 철강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키로 했다. 이 같은조치는 저가격대 철강제품 유입으로 경쟁력을 잃고 있는 인도네시아 산업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 반덤핑 관세 부과 대상이 되는 국가와 제품, 세율, 기간 등은 밝히지 않았다. 구체적인 사항은 앞으로 정해 나갈 방침이다. 인도네시
무역∙투자
2014-12-31
서부자바주 27개 시군에서 2015년 1월부터 적용되는 지역최저임금(UMK)이 개정됐다는 사실이 29일 알려졌다. 서부자바주지사는 이달 24일 보조금연료가 인상분을 최저임금에 반영해야 한다는 노동자 측의 주장을 받아들여 지난 11월 확정된 UMK보다 인상·개정에 승인했다. 서부자바주 2015년 UMK 인상폭은 재검토
경제∙일반
이석우 다음카카오 공동 대표는 세계무대에서 입지를 강화하고자 다음의 콘텐츠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으로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더불어 동남아 국가 중 잠재력이 큰 소수 지역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석우 대표는 28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새해 다음
인도네시아제지펄프협회(APKI)는 향후 3~4년간 회원사의 생산 능력을 2.5배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APKI 측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산업조림(HTI)를 인정하는 지역을 확대하고 수출신용장(L/C) 발행에 편의를 제공하면 2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루슬리 APK
2014-12-30
일본 자동차 회사 혼다(PT Honda Prospect Motor)의 인도네시아 법인 HPM은 인도네시아에서 판매된 세단 City 2004년 형 모델 3,259대의 에어백결함 때문에 리콜을 결정했다. 차량 리콜은 이달 30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차량 소유주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없다. 존피스 팬디 HPM 마케팅서비스부분 이사는 2
교통∙통신∙IT
동부자바의 부동산 가격이 내년 최대 20% 오를 전망이다. 보조금 삭감과 함께 연료가격 인상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분을 판매 가격에 전가하는 개발업자들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시황 또한 희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누르와끼드 인도네시아부동산협회(REI) 동부자바지부 부지부장은 보
호주계 기업인 리빙 웰 커뮤니티즈(LWC)는 수도 자카르타 외곽에 고령자 전용 콘도를 건설할 예정이다. 투자액은 2,600만 달러로 2015년 3분기(7~9월) 첫 삽을 뜰 예정이다. 인도네시아판 실버타운 건설 지역은 자카르타 서부에 위치한 빈따로 지구다. 건설 부지 면적은 1.3 헥타르이며 5층 짜리 5개 동을 건설할 예정이다.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 정부가 북부술라웨시 마나도 ~ 비뚱 구간(길이 39 킬로미터) 고속도로 건설의 일부 공사비용을 차관 형식으로 중국이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차관 규모는 8,500 만 달러이다.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 24일자에 따르면 공공사업부 도로건설국의 조꼬 국장은 “인도네시아 정부는 중국으로부터 차관을 제공받는 것
인도네시아 국영항공사 가루다인도네시아항공이 2015년도 다가올 새해를 기념하며 'Hello 2015' 페이스북 이벤트를 마련했다. 내년 1월 11일까지 가루다항공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https://www.facebook.com/garudaindonesia.KR)에서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제한시간 1분 내에 가루다
인터 컨티넨탈 호텔 그룹(IHG)은 최근 대형 부동산 개발기업인 찌뿌뜨라 프로퍼티(PT Ciputra Property Tbk) 그룹 계열사 찌뿌뜨라 뿌리 뜨리술라(PT Ciputra Puri Trisula)와 운영 위탁 계약을 맺고 향후 몇 년 이내에 서부 자카르타 끔방안의 비즈니스 지역에 호텔을 건설할 계획을 밝혔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 22일 현지언론을 통해 내년 쇠고기 수입 할당제 도입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작년 7월경 쇠고기 가격 인하를 목표로 시행했던 쇠고기 수입 할당제를 폐지했다. 하지만 정부는 루피아화 약세로 인해 쇠고기 가격이 상승하고 있어 할당제 재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토마스 슴비링 인도네시아 육류수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식음료 산업이 내년 제조업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3일 산업부는 광물 제련, 담배, 목제 제품, 산업용 운송 장비, 기계 설비 등 분야에서도 생산 확대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산업부 사무차관은 “정제 시설은 초기 투자 금액 크지만 장기적
유통∙물류
201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