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자바주가 인도네시아 정부에 원료사업 투자유치를 요청하고 있다. 투자자들에게 공장용지 취득 등의 편의를 주어 국내생산을 촉진시키고 수입의존도를 줄여 무역적자를 해소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KADIN) 수라바야시 지부의 주프마이 지부장은 “국내외의 많은 기업들이 동부자바주내에서 공장부지 확보에 어려
2014-08-13
일본 다이하츠 자동차, 금년 상반기 10만대 판매 초과 달성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다이하츠가 자동차 금년 1~7월간 111,464대 판매수를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판매된 103,923대보다 약 7% 증가한 수치다. 한편, 소매판매는 108,068대를 달성, 지난해 판매된 102,571대수보다 5% 높은
日 최대 철강기업 인도네시아서 해외 최초로 최신 강판제조 설비 도입 일본의 메이저 철강기업인 신닛테츠스미킨이 11일 인도네시아의 강판제조 사업에서 냉연강판과 융용아연도금강판(continuous galvanized iron)의 제조공정을 결합한 최신 자동차 강판제조 라인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융용아연
인니 제약회사, 3분기 약물주사 형태의 치료제 제조 인도네시아 제약회사 칼베 파르마(KLBF)가 금년 3분기 항암제 생산 및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 칼베 파이낸스의 비드종띠우스 대표이사는 “자사가 생산하는 약은 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물주사의 형태로 인도네시아에서 처음 상품을 내놓게 될 것이다” 며 &
남부 수마트라 주정부는, 바누아신군 딴준 짜랏 지역에 매립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규모는 3,000핵타르이며 사무도라 항구 주변의 딴준 아삐아삐 경제특구 지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매립 후, 사무도라 항구는 최대 7,000적하중량톤(DWT) 화물선의 정박이 가능해 진다. 현재 최대 적하중량톤은 5,000DWT이며 5~10년후 완료될 전
미국계 신용카드사 마스터카드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전자상거래협회(IDEA) 가맹기업 14개사와 제휴한다. 온라인 카드 결제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다. 제휴기업은 온라인숍 ‘비네까 닷컴 <www.bhinneka.com>’의 비네까 멘따리 디멘시와, 소셜커머스 기업 그루폰 인도네시아 등이다. 고객들이 상품
인도네시아 전국 편의점과 수퍼마켓 점포수가 크게 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무역부는 편의점과 수퍼마켓 점포수가 2만3천 개에 달하며 최근 3년 동안 14% 증가한 수치라고 발표했다. 무역부 국내 상업담당 스리 아구스띠나 국장은 “전국적으로 점포수는 많이 늘었으나 이중 1만4천 개 이상이 미니마
인도네시아 최대 시멘트 회사 시멘인도네시아는 내년 건설 경기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6일 현지언론은 향후 정부 주도의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내년, 5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시멘 인도네시아는 투자액을 25%늘려 생산시설 개선과 유통망 확장을 꾀할 계획이다. 드위 수찝또 사장
차기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가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해 과감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8일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정부가 부담해온 석유보조금이 위험수위에 달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되며, 올해 정부가 부담해야 할 석유보조금이 당초 예상한 210조 루피아를 훌쩍 넘긴 246로 루피아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nbs
2014-08-12
내년 중장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7일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중장비유통 상장기업 유나이티드 트랙터(UNTR) 사라 루비스 사장은 “차기 정부가 출범하고 인프라 사업이 다시 시작되면 중장비 시장의 주요 시장인 광업과 건설 분야도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UNT
인도네시아 전력공사 PLN은 해외업체들과 발전용 가스 공급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수리야디 마르주끼 PLN석유가스 국장은 쉘을 포함한, 카타르와 일본 가스공급업체들과 마스터 셰일 계약을 체결했고 미국 업체와 공급을 위한 협상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천연
라꺗 국영 인도네시아 은행(BRI)은 8일, 국영보험사 2개사를 인수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BRI 아흐마드 재무담당자에 따르면, 인수대상은 국영생명보험사 아스란시 지와 스라야와, 아스란시 지와 브린긴 스자또라가 유력하며 올 4분기내에 인수 절차가 완료될 예정이다. BRI는 총 3조 루삐아의 인수자금을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