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언론은 16일 인도네시아가 지난 10년간 불법 주석 수출로 인한 국고 손실 규모에 4조 1,700억 루피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방까블리뚱주 지방의회 주석업무위원회 에까 물라 뿌뜨라 위원장은 지난 2004년 부터 2013년까지 불법으로 수출된 주석은 301,800매트릭톤으로 이는 50조 1,200억 루피아에 달한다고
2014-07-18
대만 컴퓨터 제조업체인 에이서(Acer)는 컴퓨터 이외에도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앞세워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한다. 인도네시아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기기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른 시장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에이서 인도네시아는 태블릿과 스마트폰등 휴대용모바일 제
인도네시아 호텔레스토랑협회(PHRI)는 서부 자바주에서 영업하는 호텔의 경영상태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이슬람교의 라마단 기간동안 호텔 이용객이 크게 줄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PHRI 서부 자바주의 헬만 지부장에 따르면, 라마단 기간동안 호텔 이용률이 20%~25%로 떨어졌으며 르바란에는
자카르타 아혹 주지사대행은 16일, 교통 정체 완화책으로 도입 예정인 도로요금자동징수시스템(ERP)의 요금이 3만~10만 루피아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은 낮은 요금으로 시작해 정체완화 효과가 나오면 단계적으로 요금을 올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혹 주지사대행은
인도네시아부동산협회(REI)는 서부 자바주 찌까랑에 있는 공업단지 주변지역에 부동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서부 자바주 중산층의 증가와 공업단지 밀집 지역에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인 수요가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부동산 협회 에디 회장에 따르면 찌까랑 지역은 많은 외국기업이 밀집해 있는 대규모 산업지역이며
인도네시아부동산협회(REI)는 서부 자바주 찌까랑에 있는 공업단지 주변지역에 부동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서부 자바주 중산층의 증가와 공업단지 밀집 지역에에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인 수요가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부동산 협회 에디 회장에 따르면 찌까랑 지역은 많은 외국기업이 밀집해 있는 대규모 산업지역이며, 주택, 아파트,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 국영전력기업 PLN이 지난 5월부터 시작된 전기요금 인상으로 낮은 전력판매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LN은 금년 1~6월까지 총 95.6테라와트(TWh)의 전력을 판매하여 전년동기대비 6.71%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3년 1~3월 전력 판매율이 전년동기대비 7.17% 증가한 것을 감안했을 때 금번 6.71%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금융시장의 자금유출을 경계하고 있다. 제2분기에 경상적자 확대로 투자자들에 의한 자금 철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아구스 마르또와르도요 BI 총재는 “6월 무역수지가 석유수입 확장에 따라 3억 달러 이상의 적자를 보였다. 4~6월 경상수지 적자는 GD
경제∙일반
샤프 전자 인도네시아(SEID)는 16일 신상 냉장고 ‘키레이’시리즈 판매를 시작했다. 이 신상품은 기존의 ‘사무라이’시리즈를 인도네시아 내수용으로 출시한 것이다. 오는 10월에는 까라왕 공장을 풀 가동해, 냉장고 연간 생산량을 22만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SEI
인도네시아 브랜드 '뚤리산'이 신사동 가로수길에 팝업스토어를 열었다. 인도네시아 친환경 브랜드 뚤리산(Tulisan)이 오는 30일까지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에서 팝업 스토어를 운영한다.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뚤리산의 대표 인기 제품인 비치도트, 호보도트, 코트리백 등은 물론이고 지갑,
캐나다의 썬 라이프 파이낸셜 생명보험사가 인도네시아에서 샤리아 보험사업을 강화한다. 동사는 남부 수마트라주 빨렘방에 처음으로 샤리아 보험 판매대리점을 개설했었으며 샤리아 상품 판매월을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현지법인 썬 라이프 파이낸셜 인도네시아의 베르또 패터슨 사장은 “수마트라섬의 제2의 도시 빨렘방에서는 전국 평
금융∙증시
미국의 부동산투자업체인 존스랑라살(JLL)은 16일 오는 10월에 출범하는 인도네시아 차기 정권이 고급분양 아파트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개방하게 되면,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 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차기 대통령 유력후보인 조꼬위가 내세운 정책에 호감을 가져 정권교체 후, 선거상황을 지켜보던 기업들의 투자가 뒤를 이어 사무실 및
무역∙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