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엘까 빵으스뚜 관광창조경제부 장관이 인도네시아 패션업계가 국가의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도네시아 패션업계의 경제적 가치는 18억 달러에 도달했다. 지난해 패션업계 부문은 6.4%까지 성장했으며 금년도에는 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 전했다. 지난해 패션부문은 창조경제산업부문에서 약 28
2014-06-27
인니 핸드폰 제조 업체인 아드반은 올해 5월로 예정됐던 부품공장운영 개시를 9월로 미뤘다. 해당 공장은 스마랑에 건설되고 있으며 1천억루피아가 투자될 계획이었다. 짠드라 리안또 아드반 마케팅이사는 “공장의 운영을 미룬 것은 정부규정과 상관없이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계획을 미룰 수 밖에 없었다. 계획이 지연됨으로써 투자액
텔레코무니카시 인도네시아(텔콤·PT Telekomunikasi Indonesia)는 유럽계 인공위성 제작사를 통해 인공위성을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텔콤3S는 2012년 러시아가 텔콤3 인공위성을 궤도 위에 올려 놓는 데 실패한 후 이를 대체하기 위해 제작되는 인공위성이다. 인도네시아 인공위성연합회의 다니 인드라 위자나
중국의 중장비업체 사니(Sany)의 현지 에이전트인 자카르타 인터네셔날 머쉬너리 센터(Jakarta International Machenery Centre·Jimac)그룹은 인도네시아에서 2억달러가투자된 사니의 중장비 공장건설이 완료됐고, 2015년에 제품 생산을 위한 운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Ji
인도네시아 자동차 산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내 모든 자동차 업체의 5월 신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 % 감소한 9 만 7147 대를 기록했지만, 1 ~ 5 월 누계는 53 만 1,805대로 6.8 % 증가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는 연내 여러 종류의 저가격 저연비 자동차 (LCGC)가 도입될 전망이며, 저연비 자동차의 판
카이룰 딴중 경제조정부 장관은 새 정부가 출범되기 전 오는 3개월 이내 최소 7개의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착수될 것이라고 전했다. 주요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의 경제발전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대부분 자바섬 이외의 지역에서 착수될 것이다. 현재 정부는 오는 10월 이전 트랜스 수마트라 고속도로에 약 355조루피아를 투
보고르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대규모 복합위성도시 슨뚤시티가 금년도 9천억루피아 규모를 지출하여 거주지역 및 인프라를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자카르타 지역으로 36 킬로미터까지 확장된다. 슨뚤시티의 마이클 틴 대변인은 “슨뚤시티는 보고르에 위치해 있는 최적화된 레지던스로 자사는 앞으로 대규모의 백화점도 건설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공업단지의 면적을 최대 200헥타르로 제한할 것이라 밝혀 공업단지협회(HKI)측이 반발하고 나섰다. 자동차 회사 등의 대형공장이 들어서게 되면, 불과 몇 개 회사로 공업단지 면적이 차기 때문이다. 공업단지 관련규정 2009/24호에 따르면, 공업단지는 최소면적을 50헥타르로 정하고 있으나 최대면적에 관련된 규정은
2014-06-26
타타모토스 인도네시아는 자바와 수마트라에서 내년 4월까지 판매대리점 20개 지점 설립을 목표로 판매망을 확장하려고 한다.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연합회(GIKINDO) 자료에 따르면 올해 타타모토스 인도네시아는 지난해보다 비약적인 판매를 기록했다. 타타 모토스는 작년 9월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진출을 시작했고 올해 1~5월 동안 매달 각각
조꼬위도도 대선후보자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면, 팔레스타인 지역에 인도네시아 대사관을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3일 저녁 서부 깔리만딴 뽄띠아낙 지역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이 독립주권국가로서 거듭나 UN 회원국이 될 수 있도록 확고하게 지지할 것이며, 팔레스타인 지역에 인도네시아 대사관을 구축할 것이다" 고 말했다. &nbs
산업부는 르바란 명절 시기, 식료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업계는 생산을 20%까지 높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히다얏 산업장관은 24일 “기업들과 회의를 한 결과 올해 르바란 시기에 식료품수요가 15~20%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료품 업계에 생산을 최대화 해줄 것을 요청했다. 르바란 시기에 수
정부는 곧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준수를 인스턴트 커피 제품에도 의무화할 예정이다. 수입되는 인스턴트 커피제품의 질이 떨어지는 데 반해 수입량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커피수출제품은 2012년 32262만달러에 비해 2013년에 24387만 달러로 24.41% 감소했다. 가공커피의 수입 추세는 수출과 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