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바수끼 공공사업국민주택부는 자바섬 외 고속도로가 총연장 600km에 달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수마뜨라 종단 고속도로와 술라웨시섬 고속도로를 포함해 총 3개 구간이 가까운 시일 내에 개통한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3일자 보도에 따르면 바수끼 장관은 개통 예정인
건설∙인프라
2020-02-06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도시철도(MRT)를 운영하는 MRT 자카르타는 1월 30일, 제2기 공사의 첫 번째 건설사로 일본의 시미즈(Shimizu)와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 아디 까르야(PT Adhi Karya)의 조인트벤처(JV)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곧 정식으로 계약이 체결될 전망이다. MRT는 작년 3월에 제1기 구간
2020-02-05
인도네시아 국영 주석 회사 띠마(PT Timah)는 1월 30일, 방까 블리뚱 주석 제련소 건설 공사에 착수했다. 사업비로 8,000만 달러가 투입됐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월 31일자 보도에 따르면 띠마의 압둘라 비서실장은 “핀란드수출보증공사(Finnvera)와 인도네시아 수출입
인도네시아의 복합 기업 아스뜨라 인터내셔널(PT Astra International)은 올해 지난해에 이어 고속도로 건설 사업 등에 투자해 인프라 사업의 지분 취득에 주력한다. 지난달 31일자 인베스터데일리의 보도에 따르면, 해외직접투자(FDI)를 획득하기 위해 외국 기업과의 제휴를 목표로 할 생각을 나타냈다.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 PLN은 일본 후루카와 일렉트릭(Furukawa Electric)과 수마뜨라섬과 방까섬을 연결하는 전력 해저 케이블 사업에 대한 풀 턴키 계약을 했다고 발표했다. 해저 케이블을 통해 수마뜨라섬에서 방까섬으로 송전, 방까섬의 발전비용 절감과 전력 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 2
2020-02-04
무하마드 이드리스 드폭 시장 인도네시아 서부자바주 드폭시가 새로운 철도 인프라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기존의 철도역에서 도시 철도(MRT)과 경전철(LRT)역 등에 연결하는 4개 노선 건설 방안을 최근 교통부에 제출했다. 철도 종료는 아직 정확하게 발표되지 않았다.
2020-02-03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 PP의 자회사 PP 프로폴띠(PT PP Properti)는 1조 2,000억 루피아 상당의 채권을 발행할 계획을 밝혔다. 조달 자금은 채무 상환 및 사업 확장 자금으로 충당한다. 발행하는 것은 상환 기간 3년 시리즈 A(이율 9.4~9.9%)과 5년 시리즈 B(이율 9.75~10.25%)다
2020-01-24
인도네시아 교통부 해양국의 아리프 비서실장은 21일 서부자바주 수방군에 엔차관으로 건설되는 빠띰반 항구 운영회사 입찰을 다음달 초부터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입찰 공고 기간은 약 3개월이 될 전망이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22일자 보도에 따르면 현재 국영 항만 운영사 쁠라부한 인도네시아2(PT Pelabuh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 쁘르따미나(PT Pertamina)는 동부 깔리만딴 발릭빠빤 정유 개수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외부 자금이 조달되기 전까지는 내부 자금으로 조달해 사업을 진행한다. 아랍 에미리트 연합(UAE) 아부다비의 등과 투자 유치에 성공했지만, 실제로 투자액은 4월 이후에 들어올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부동산 개발업체 리뽀 찌까랑(PT Lippo Cikarang)은 21일 서부자바주 브까시군에서 추진 중인 대형 도시 개발사업 메이까르따의 올해 성약 목표를 전년 대비 25% 증가가 목표라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약 1,300가구를 성약했다. 현지 언론 꼰딴 21일자 보도에 따르면 메이까르따 개발 사업의
2020-01-23
인도네시아 북부 수마트라주에 있는 세계 최대의 칼데라 호수 또바 호수(Toba Lake) 주변에서 올해 6개사가 호텔을 개발할 계획이다. 16일자 비즈니스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 총액은 약 2조 루피아로 알려졌다. 지난 2018년에 발리에서 개최된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차 총회에
2020-01-22
인도네시아 담배 대기업 구당 가람(PT Gudang Garam)이 동부 자바 끄디리에 건설 계획 중인 새로운 공항이 4월 16일에 착공한다고 밝혔다. 추후 2022년 10월 공용 개시가 목표이다. 첫해에 150만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