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스카이팀 가입∙∙∙ 고객혜택 늘어나 인도네시아 국영 항공사 가루다인도네시아가 영국 런던을 신규 취항노선에 추가했다. 가루다항공의 사따르 대표 이사는 지난 월요일 런던 신규 취항 및 리버풀FC의 새로운 후원기업 계약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가루다항공이 글로벌플레이어 대열에 합류하는 첫 발걸
교통∙통신∙IT
2014-01-30
항공회사 라이언항공은 발주한 프랑스 에어버스 A320에 탑재할 엔진 60기를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과 프랑스 사프란(Safran)의 합자회사 CFM 인터내셔널로부터 조달했다고 밝혔다. 현지언론자카르타포스트 28일자에 따르면 라이언그룹의 루스디 끼라나 대표이사는 지난 29일 “엔진 조달액은 12억 달러이며 채택이유는 좋은 연비때문이다
제주관광공사, 명예홍보대사 초청 ‘마케팅 전략’ 수립 워크숍···직항전세기 유치협력 최근 아세안지역 고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인도네시아 관광시장 개척을 위한 마케팅이 본격화 된다. 제주관광공사(사장 양영근)는 지난 27일 제주관광 명예홍보대사를 제주로 초청, 아세
무역∙투자
의류 제조기업 태평양물산은 수도시설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도네시아 법인 인근지역 주민들을 위해 수도시설을 갖춘 식수원을 개발, 기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식수원 기증은 2012년부터 추진했던 우물파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해 인도네시아 NPK 공장 인근지역 주민들이 깨끗한 물을 공급받게 됐다. 태평양물산은 인도네시아 PPN 공장
건설∙인프라
인도네시아·미국으로 생산기지 옮겨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부품 공급업체인 대만의 폭스콘이 ‘탈 중국화’전략으로 생산기지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그간 노동환경문제로 곤욕을 치른 폭스콘은 저비용공장을 인도네시아에 짓고 하이테크 제조업 공장을 지을 후보군으로 미국을 검토하고 있
2014-01-29
우리은행이 28일 사우다라은행 지분인수대금을 최종적으로 납입완료함으로써 사우다라은행 인수합병을 통한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란 세계화(Globalization)와 현지화(Localization)의 합성어로, 은행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세계화를 하면서도 현지화를 동시에 추구하겠다는
금융∙증시
중부자바·동부자바로···임금 부담이 주요이유 수도권 인근 땅으랑, 반뜬, 브까시 지역 공단에 소재한 135개 신발제조기업들이 올해 동부자바, 중부자바 지역으로의 이전을 서두르고 있다.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 28일자에 따르면 신발생산기지의 이전은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
“외국계 대기업의 국내 팜오일산업 지배 막아야” 세계 최대 팜오일(CPO)생산국인 인도네시아가 새로운 팜오일 플랜테이션 규제로 인해 생산전망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현지언론 자카르타포스트 28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가 새로 내놓은 팜오일 플랜테이션 농장 규제가 지난해 10월 2일부
에너지∙자원
기업하기 좋은 환경조성·∙ 차기정부가 할 일은 인도네시아 상공 회의소(Kadin)는 현 경제 침체를 극복하고 더 나은 기업경영 환경을 만들기 위해 10 월 대선 후 취임할 차기정부가 해결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했다. Kadin은 특히 연료보조금이 필요한 계층에 돌아가지 않고 있으며 대신 그 예산을 혜택대상이 폭 넓은 인
경제∙일반
태국 불붙은 시위로 정치적 불안 고조 생산기지 이전은 쉽지 않은 문제 태국 도요타 모토르(TMC)가 인도네시아로 투자를 이전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업계전망이 나왔다.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 27일자에 따르면 도요타를 비롯한 여러 기업들이 태국의 정치적으로 불안정 지속으로 인도네시아로의 사업기지
2014-01-28
인상폭 아직 알려지지 않아···매년 평균 5~10% 인상 국영항만운영기업 쁠린도2가 자카르타 딴중 쁘리옥항구의 항만이용료를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 27일자에 따르면 리차드 주스트 리노 쁠린도2 대표이사는 지난 24일 “현재 내부적으로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시멘트 소비가 지난해와 같은 속도로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언론 자카르타포스트 25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시멘트협회 회장 위도도 산또소는 전날 “올해 시멘트 수요는 전년대비 6~7%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올해 시멘트 총 수요는 6300만 톤으로 이중 6천 2백만 톤은 국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