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대비 루피아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가전업계와 휴대전화 수입판매업자들이 가격을 인상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지난 11일 현지언론 뗌뽀가 보도했다. 전기제품업자연합(Gabel)의 이에니 사무국장은 지난 10일 “루피아 급락에는 놀란 것은 사실이지만, 우선 향후 1주일 동안의 환율시세를 보고 나서 대응을 구축하겠다&rd
경제∙일반
2013-06-13
중국수입금지 저품위탄 대상…깔리만탄에선 불법 채굴 ‘골치거리’ 인도네시아의 저품위 석탄이 중국외에 한국, 일본, 인도 등으로 대량 유입될 전망이다. 자카르타포스트 4일자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부는 한국, 일본, 인도 등으로 저품위 석탄 수출을 확대할 방침
무역∙투자
슬래그 활용한 시멘트 대체상품 생산 국영 기업 끄라까따우 스틸(PT. Krakatau Steel)과 스멘 인도네시아(PT. Semen Indonesia)이 내달총 3100억 루피아(3158만달러)를 투입해 합작투자 회사를 세울 예정이다. 이들은 제철소 고로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이용해 시멘트 대체상품을 만들 계획인 것으로 알
조꼬위, “빨쟈 매입해 상수도 공영화할 것” 선언 최대 10조 루피아 위약금에 상습적인 누수∙절도 문제 해결이 관건 자카르타 상수도가 잘하면 16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전망이다. 자카르타 상수도는 그 동안 프랑스 민영회사가 운영하면서 가격 인상
유통∙물류
인도네시아 주요 석유가스 기업들이 생산성 하락과 유휴유전 지대가 거의 없어유도요노 대통령이 제시한 하루 1백만 배럴의 석유생산량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고 현지언론 자카르타포스트가 12일 보도했다. SKKMigas(석유가스관리감독청)의 루디 루비안디니 청장은 지난 11일 국회 제 7위원회(에너지광물자원·기술연구&midd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항공은 11일, 올해 하반기(7~12월)에 공모채를 발행하여 최대 2조 루피아를 조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비즈니스인도네시아에 따르면, 가루다 항공은 2015년에 사용 기체수를 194기로 확충하는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조달자금을 새 기재 구입에 충당할 예정이다.. 신용등급기관 피치 레이팅스 인도네시아로부터 &ls
교통∙통신∙IT
술라웨시 섬 등 인도네시아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영업을 하는 렌터카 회사 PT.부미 자사 우따마가 차량보유대수를 30%늘려 4,000대로 증강하겠다고 현지언론 비즈니스인도네시아가 11일 전했다. 이는 지방도시에서 렌터카의 수요량이 점점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PT.부미 자사 우따마의 이멜다 사장은 “올해
소매점인 PT.미디 우따마 인도네시아가 인도네시아의 편의점인 ‘알파 익스프레스’의 신규출점을 올해부터 최소하겠다고 11일 비즈니스인도네시아에서 밝혔다. 인도네시아에는 현재 중간규모의 알파 마트, 큰 규모인 알파 미디 마트, 소규모인 알파 익스프레스가 있다. PT. 미디 우따마 인도네시아는 편의점 사업은 라이선스를 운영하는 &l
7월엔 소고기∙생우 수입업자도 조사 예정 인도네시아 정부는 원예작물의 수입업자 44개사의 수입 라이선스를 취소했다고 밝혔다. 주원인은 상품의 보냉 등 관련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자카르타포스트는 1일자에서 밝혔다. 무역부는 향후 동종업계의 타사와 소고기 및 생우의 수입업자로도 조사를 확대해 같은 조치를
2013-06-12
브까시 공장 증설 및 판매망 확대 ‘앙카 비어’ 등의 제조 판매를 다루는 델타 자카르타는 노알콜 음료의 판매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증산과 새로운 대리점의 설치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비즈니스인도네시아는 31일자에서 전했다. 이에 따르면 델타 자카르타는 올해 최대 550억 루피아를 투자하여 서부 자바주 브까
인도네시아에서 불법으로 판매되고 있는 화장품의 유통액이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비즈니스인도네시아는 31일자에서 보도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업계는 정부에 감시를 강화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화장품회사단체협회(PPAKI)에 따르면, 불법 화장품의 판매액은 올해 12조~16조 루피아로, 국
인도네시아가 농업 기반 산업과 섬유산업 등 9개 산업을 집중육성한다. 10일 인도네시아 언론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오는 2015년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경제공동체(AEC)가 출범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 이들 산업들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육성할 산업은 팜유·코코아·고무 등 농업기반 산업, 수산물 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