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인도네시아 정부에 무역정책 수정 및 개선권고 인도네시아가 원예작물 5개 품목의 수입규제를 철폐하기로 했다. 마늘과 양배추 외에 국화, 난, 헬리코니아(다년초)의 절화(꽃꽃이용 가지 및 꽃)가 대상이다. 인베스톨데일리 13일자에 따르면 기타 위르야완 통상부장관은 이같이 밝혔다. 인도네시아 통상부는
무역∙투자
2013-04-16
인도네시아 등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 부동산 거품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경제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선진국에서 남아 도는 '핫머니'가 이들 지역의 금융시장은 물론이고 부동산 시장에도 유입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11일(현지시간) 국제 자본시장을 오가는 투기성 단기 부동자금이 인도네시아 등 
건설∙인프라
올들어 인도네시아의 물가폭등 및 무역적자 확대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인도네시아 경제에 대해 낙관하고 있다. 지난주 9일 발행된 2013년 아시아개발전망(ADO) 보고서에서 ADB는 앞으로 2년간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이 보고서에서 ADB는 인도네시아가 올해 6.4%, 내년 6.6
경제∙일반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이 시름시름 ‘속앓이’를 하고 있다. 동남아 최대 금융소비시장인 인도네시아에서 본격적인 영업체제 구축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현지은행인 뱅크메트로익스프레스(BME)의 지분 40%를 인수하기로 결정한 뒤 3개월여가 지났지만 현지 금
금융∙증시
“안전문제 무시하는 항공사 ‘시한폭탄’ 띄우는 셈” 지난 13일 발생한 라이온항공(Lion Air) 소속 여객기의 발리 추락사고를 두고 전문가들의 여러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항공전문가들은 라이온항공의 잦은 항공 사고를 두고 ‘급격한 사업확장에 비해 안전부문 및
교통∙통신∙IT
리포그룹 IPO 3건으로 3억$ 유치 계획 인도네시아 재벌중 하나인 리포 그룹이 이번 2분기내에 3건의 기업공개(IPO)를 통해 최소 3억 달러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12일 보도했다. IPO 추진 부문은 헬스케어, 은행, 정보통신(IT) 분야이다. 로이터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리포의 헬스케어 사업부인 실로암병
인도네시아 국가에너지평의회(DEN)는 2025년의 에너지 소비량이 석유환산으로 4억 톤으로, 2010년의 1억6,000만 톤의 2.5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재생가능 에너지가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은 당초 목표에서 약간 축소될 전망이라고 파이낸스투데이는 10일자에서 밝혔다. 에너지원의 내역으로는, 2025년 시점에서 재생
에너지∙자원
인도네시아 카페 레스토랑사업자협회(Apkrindo)는 11일 올해 음식업계의 매출액이 전년대비 15% 성장한다는 전망을 밝혔다. 전기와 가스의 요금인상으로 비용은 증가하지만, 최저임금의 상승으로 소비자의 구매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비즈니스인도네시아는 11일자에서 밝혔다. 협회의 에디 회장은 “전기요금이 단계적으로 올라
3월까지 302만TEU 달성…내년 4월 투루쿠라몬 터미널 완공 목표 동부 자바주 수라바야의 딴중뻬락의 컨테이너 취급량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1~3월은 68만241TEU(20피트 컨테이너환산)로 한해 전체로는 처리능력 302만TEU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때문에 내년 4월 가동을 위해 새로운 다목적
유통∙물류
2013-04-15
중국의 ‘WeChat’- NHN의 ‘LINE’ 불꽃 경합…‘카카오톡’은 고전 동남아시아 최대 인구대국 인도네시아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 출신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불꽃 대결을 펼치고 있다. 자카르타포스트 8일자에 따르면 중국의 ‘WeCh
2013-04-12
삼성자산운용의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투자 펀드에 1000억원이 넘는 돈이 몰렸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10일 '삼성아세안증권펀드' 설정액이 올해 들어서만 700억원 넘게 모이며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 펀드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세안 주요국가에 투자하는 것으로, 연초 이후 수익률이
오는 10월 APEC 정상회담 앞둔 발리 표정 발리 공항, 길리마눅과 파당바이 항구는 잊어라. 이 곳들은 발리의 공식적 관문으로 경찰 및 군이 보안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발리에 침투하려는 모든 테러리스트 및 범죄자들은 이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경비가 부실한 전통적인 어업항구 및 발리의 긴 해안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