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부는 한국을 포함한 5개국 지역에서 수입되는 냉간압연코일(CRC)과 냉간압연강판에 최대 74%의 덤핑 관세를 부과할 방침으로 이는 반덤핑위원회 (KADI)가 실시한 조사에서, 인도네시아의 철강산업에 큰 손실을 준 의혹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대상이 된 한국, 일본, 중국, 베트남, 대만 가운데 중국 회사들에 최대 74%, 대만의
무역∙투자
2013-01-21
조달청 “작년 쌀 풍작, 비축미 228만톤 사상 최고” 인도네시아 조달청(Bulog)이 향후 8개월간 쌀 수입을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말까지 쌀 생산이 유래없는 풍작을 이뤄 올들어 당분간 쌀 수입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수타르토 알리모에소 청장
2013-01-18
한국인삼공사가 올해 인도네시아 진출에 나선다. 공사는 올해 신성장동력으로 해외사업을 꼽고 중동 등 해외 건강식품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15일 인삼공사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해 올해 인도네시아에 법인을 설립하고 터키·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시장에도 진출하는 수출 다변화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저가항공(LCC)사인 시티링크가 에어버스(사진) 25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16일 외신에 따르면 항공기 제조회사 에어버스는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항공의 자회사인 시티링크로부터 에어버스 25대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 항공기의 모델은 ‘A320네오’이며, 이 회사로부터의 단독 주문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티링
교통∙통신∙IT
인도네시아 선주협회(INSA)는 올해 선박조달 투자액을 전년대비 최대 20% 확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단, 정부의 재정지원이 필수라고 조건을 달았다. 선주협회가 이런 제안을 한 것은 최근 선박 가격이 과거 최저수준까지 떨어져 해운회사들이 투자하는 데 적기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비즈니스인도네시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해운회사
유통∙물류
투자자 매수세 속 9조루피아어치 팔아 치워 목표량 초과…이자율도 3~4%대로 ‘안정적’ 인도네시아 국채가 올해 처음 성공적으로 팔렸다. 연초부터 루피아 가치의 하락 등 일말의 경제 불안감이 이는 가운데서 거둔 나름대로의 성공작이다. 16일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재무부는
경제∙일반
인도네시아 무역부는 16일 소비자보호를 위한 웹사이트(http://siswaspk.kemendag.go.id)를 개설했다. 현지언론에 따르면 무역부 관계자는 최근 “온라인에서 소비자 보호감시 시스템 운용을 시작한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만사항을 접수 받는다”고 말했다.
피처폰, 테블릿 단말기시장 모두 1위 한국의 삼성전자가 인도네시아 안드로이드 휴대폰 시장에서 점유율 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자 자카르타 포스트에 따르면 현지법인 삼성전자인도네시아는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미국 구글의 운용시스템인(OS)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스마트폰 시장
“부당하게 적용연기 신청”…인니내 40곳 전면 조사중 미국 스포츠용품회사 나이키가 올해 최저임금의 적용을 신청했다가 취소하는 망신을 당했다. 16일 자카르타글로브에 따르면 나이키는 인도네시아내 위탁 공장의 하나가 정부에 신청했던 올해 최저임금 적용 연기를 돌연 취소했다. 적용연기를 취소한 곳은 자
중국이 임금상승 등으로 ‘세계의 공장’으로서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대신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 대한 외국 기업들의 투자가 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중국의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1,117억2,000만 달러(약 118조원)로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도네시아 NISP자산운용사 인수를 포기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진출을 완전히 포기한 건 아니고 새로운 인수 대상을 물색하기로 했다. 17일 한국언론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NISP인수를 취소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해 2월 인도네시아 현지 자산운용사인 NISP자산운용의 지분 70%를 인수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
한국의 두산그룹이 자카르타특별주의 인프라 개발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6일자 드띡닷컴에 따르면 두산은 조만간 조꼬위 지사와 회담을 갖고, 계획하는 내용에 대해서 협의할 예정이다. 경제담당조정부장관 사무소의 리잘 차관(국제협력담당)은 “두산이 전력과 물 인프라 정비사업을 제안하고 있다”면서 &ld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