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 해변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 정부는 발리에 외국인 관광객 입국 활성화를 위해 중국과 인도 국적자에게도 도착 비자(visa on arrival, VoA)를 확대할 계획이다. 산디아가 우노(Sandiaga Uno) 관광창조경제부 장관은 14일 자카르타의 대통령궁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중국과
경제∙일반
2022-03-16
치솟는 국제 유가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재정 통합 계획과 높은 보조금 지출의 균형을 맞추려는 국가 예산에 새로운 부담을 주고 있다. 13일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러시아 분쟁으로 세계경제 회복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이 악화되면서 국제유가 기준치인 브렌트유 가격이 2022년 기준치의 2배인 배럴당 12
2022-03-15
인도네시아 무역부 무함마드 루뜨피(Muhammad Lutfi) 장관은 9일 자카르타 남부 끄바요란 라마 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식용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 시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상인들이 차익을 얻기 위해 가격을 인상하고 식용유 가격 상한선을 준수한 판매자가 없다는 것이다. 루뜨피 장관은 판매자들 사이에 정부
2022-03-11
중앙은행(BI)의 최근 조사에서 2월 중앙은행 소비자신뢰지수가 1월의 119.6에서 113.1로 하락함에 따라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장래 사업이나 고용 전망에 대해 덜 낙관적인 것으로 보여진다고 자카르타포스트가 9일 보도했다. 최근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100을 초과하는
2022-03-10
인도네시아 국영석유(Pertamina) 주유소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월요일 러시아 제품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수입금지와 이란 회담 지연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에 따라 국제 유가가 급등하고 주가는 급락했다고 자카르타포스트가 7일 보도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이 냉각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모
2022-03-08
밀 (출처= https://namu.wiki)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인도네시아의 주요 수출입 교역 상대국은 아니지만 동남아시아 국가가 우크라이나산 밀 수입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으로 인도네시아 밀 공급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고 자카르타글로브가 2일 보도했
자카르타 식당(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지난 몇 년 동안 인도네시아 노동자들은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공장들이 직원들을 해고하면서 서비스업 일자리로 눈을 돌렸다. 그러나 최근 자료에 따르면 고학력 인적 자원이 부족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전통적인 부문에 노동자가 집중되고 있다고 자카르타포스트가 5일
2022-03-07
인도네시아 정부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수입 전기전자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에게 국산품으로 대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자카르타포스트가 4일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전자제품 수입이 223억 3천만 달러였으며 이는 전체 수입의 11.38%를 차지
동부자카르타 재래시장(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는 지난 2월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이동제한을 강화한 가운데 소비 성수기가 끝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를 기록했다고 자카르타포스트가 1일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2.06%
2022-03-04
재무장관령 제52호/2022호에는 제2차 조세특별사면에 따라 332개 재생에너지 개발과 특정 가공산업이 다른 산업보다 더 많은 자금을 받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해당 지원 대상 산업은 지열 발전, 발전기 제조, 육가공, 가구 제조, 원유 가공, 도자기 제조 등이다. 1일 자카르타포스트
2022-03-02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함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자국 경제와 자본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지만 투자자들은 위기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자카르타포스트는 25일 보도했다. 사무엘증권(PT Samuel Sekuritas Indonesia) 수석
2022-03-01
인도네시아 세계연구소(World Research Institute, WRI)의 농업, 임업 및 기타 토지 이용 부소장인 안디까 뿌뜨라디따마(Andika Putraditama)는 24일 자카르타 포스트의 스포트라이트 웹 세미나에서, 정부가 유럽연합(EU)과의 야자유 무역과 국내 식용유 부족 등 수많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팜유 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