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현대차)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인구 세계 4위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베트남 경제매체 베트남비즈는 인도네시아가 태국과 함께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지역내 주요 자동차 생산기지 중 하나가 됐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도요타를 비롯해 미쓰비시, 스즈키 등 주요 일본 자동차업체들
유통∙물류
2019-02-11
현대 코나 일렉트릭 인도네시아 정부가 외국 자동차 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새로운 전기차 정책 수립의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 오는 2025년까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 자동차의 20%를 전기차로 채운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현재 일본 및 한국 완성차 업체와 긴밀한 대화를 나누는 중이다. 여
2019-02-07
일본 마쓰다 자동차(Mazda Motor Corporation)의 인도네시아 유통업체 유로카스 모터 인도네시아(PT Eurokars Motor Indonesia, 이하 EMI)는 올해 마쓰다 자동차의 목표 판매 대수를 전년 대비 24% 증가한 7,000대로 설정했다. 현지 언론 드띡 4일자 보도에 따르
인도네시아 텔레매틱스산업협회(AIPTI)는 올해 휴대전화의 국내 생산 대수가 전년 대비 5%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간 생산 능력은 5,400만 대에 달할 전망이라고 지난달 29일자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AIPTI의 헨드릭 회장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가 지난 2014년 현지 조달 비율 규정을 도입
2019-02-06
인도네시아에 실제 점포를 가진 소매 사업자들이 정부에 전자상거래(EC) 사업자와 대등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일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유통협회(Aprindo)의 뚜뚬 부회장은 “4월에 시행되는 EC 사업자 납세에
바이오인식 아이디 및 시큐리티 솔루션 전문기업인 슈프리마아이디(대표 박보건)가 인도네시아 경찰청에 운전면허증 발급용 지문인식장치 300여대를 공급하는 사업을 수주했다고 지난 31일 밝혔다. 슈프리마아이디 측 설명에 따르면 이 사업은 인도네시아 대국민서비스 강화 사업 일환으로 추진됐다. 이동식 경찰버스 안에서 운전면허증 발급서비스를 제
2019-02-04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미국 코카콜라가 인도네시아에서 커피 음료를 투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커피 가공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9일자 보도에 따르면 아이르랑가 산업장관은 지난 22~25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 연차 총회에서 코
2019-01-31
인도네시아 중장비산업협회(Hinabi)는 올해 국내 중장비 생산 대수가 전년 대비 10~15% 감소한 7,000대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4일자 인베스터데일리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생산 대수는 7,906대였다. Hinabi의 자말루딘 회장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광업 분야의 중장비 수
일본계 유센 로지스틱스는 최근 인도네시아 법인 2개사가 화물의 안전 관리 및 규정 준수 체제를 갖추고 있는 사업자에게 주어지는 AEO(인증공급자: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AEO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세관에서 세관 절차의 완화 조치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인
2019-01-30
일본 도요타가 인도네시아 미니밴 시장에 대한 자국 메이커 간 경쟁 강화를 의식해 신모델 가격을 올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28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요타와 산하 다이하츠 모터스는 인도네시아를 겨냥한 소형 다목적 차량(LMPV) 2019년 신모델 가격을 지난해 모델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도요타 자동차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은 26일 새로운 화물 운송 서비스 ‘카고 프래이터(Cargo Freighter)'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국내 화물 항공사 마이 인도 에어라인(MY Indo Airlines)과 협력해 주 4회 운항한다. 현지 언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에 따르면, 2018년 완성차(CBU) 수출 대수는 전년 대비 14% 증가한 26만 4,553대였다. 베트남 정부가 지난해 1월 CBU 수입 제한을 시작하는 등 마이너스 요소가 있었지만, 2년 연속 전년 대비 증가를 달성했다. CBU의 수입 대수는 4% 감소한 8만 4,148대로 2년 만에 전년보다 감소했다. &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