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점 'KFC' 국내 운영사 패스트푸드 인도네시아(Fast Food Indonesia, FFI)는 버스를 이용한 이동식 점포 'KFC 푸드 버스’의 사업 전개를 강화한다. 오프라인 매장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배치하며, 이는 점포 신설에 앞서 시장 테스트 등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유통∙물류
2018-09-28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소매 대기업 루루 그룹 인터내셔널(PT Lulu Group International)은 대형 슈퍼마켓 ‘룰루’ 인도네시아 3호점을 서부자바주 보고르 센뚤에 개업한다고 밝혔다. 정확한 영업 개시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현지 언론 안따라뉴스 24일자
도요타 자동차의 프리미엄 라인인 ‘렉서스’를 판매하는 렉서스 인도네시아는 내년 1월 고급 소형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UX'의 새로운 모델을 발표한다.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에 따르면, UX는 올해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발표됐으며, 지난 8월에 개최된 인도네시아 최대의 모터쇼 '가이킨
2018-09-27
스즈키의 인도네시아 자동차 판매회사 스즈키인도모빌세일즈(SIS)는 지난 4월에 발표한 소형 다목적 차량(MPV) '에르띠가(Ertiga)’의 신형 모델에 대해 내년 3월까지 수출 목표 대수 1만 2,000대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외화 유출 억제 정책의 일환으로
2018-09-26
국제우편 물류 기업 도이치 포스트 DHL의 인도네시아 법인 DHL 익스프레스 인도네시아(PT DHL Express Indonesia)는 21일 내년 1월 1일부터 배송료를 평균 4.9% 인상한다고 밝혔다. 매년 실시하고 있는 요금 개정의 일환으로 배송 망을 확충해 서비스 향상을 도모한다. &nbs
2018-09-25
독일 자동차 업체 BMW의 현지 법인 BMW 그룹 인도네시아(BMW Group Indonesia)는 소형차 브랜드 '미니' 2개 차종의 국내 조립 생산을 시작, 최근 24대 생산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신형 '미니쿠퍼 컨트리맨'과 '미니쿠퍼 S 컨트리맨 스포츠' 모두 연내에
인도네시아 1~7월 국내 이륜차 판매 대수(판매점 출하 베이스, 속보치)는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약 359만대로 집계됐다. 인도네시아 이륜차제조자협회(AISI)의 시깃 꾸말라 이사는 농작물 수확량의 호조 등을 배경으로 구매력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시깃 이사는 연간 판매 대수에 대해 각 유통업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에 따르면, 8월 완성차(CBU) 수출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4% 증가한 2만 3,559대였다. 올해 도입된 수입 규제로 시장이 침체하고 있었지만 베트남에 2,500대 이상이 수출돼 시장 회복세로 접어들었다. 현지 언론 꼰딴 19일자 보도에
2018-09-24
인도네시아 내각은 20일 국산 제품 사용을 촉진시키는 팀을 발족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 통지령 ‘2019년 제24호'이 시행됐다. 국산 제품 사용 촉진팀은 장관이나 정부기관, 재계 대표 24명으로 구성된다. 해양 조정장관이 팀장으로 활동하고 경제 조정장관과 산업장관이
인도네시아 국내에서 목재 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생산이 확대될 전망이다.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산업자원부는 레이온의 원료인 셀룰로오스 섬유의 공장이 향후 여러 곳에 설립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섬유 원료의 수입 억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스트리아
2018-09-21
인도네시아 자동차제조업협회(가이킨도)에 따르면 8월의 신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 증가한 10만 2,197대였다. 미쓰비시와 지난해 7월 상업 생산을 개시한 중국의상치퉁융우링(SAIC-GM-Wuling Automobile Co.,Ltd, SGMW)의 신차 판매량이 각각 2.4배 확대했다. &nbs
인도네시아에서 경제 발전으로 증산층이 증가하면서 음용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정용 정수기 시장의 급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20일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지난 수년간 5~5.2%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경제 구조가 점차적으로 산업화 및 통합화가 이뤄졌고, 특히 증상층의 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