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CPO 수출량이 감소했다. 10월 인도네시아 팜 원유(CPO) 수출량이 전월 대비 5.6% 감소한 260만 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국에서 콩기름 수요가 확대한 것 등이 CPO 수출 감소에 원인이라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비축량은 전월 대비 16% 증가한 338만 톤이었다. 대 파키스탄 CP
에너지∙자원
2017-12-22
인도네시아 석탄 대기업 아다로 에너지(PT Adaro Energy)는 향후 5년간 동남아 지역에 총 출력 500만kW의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발전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석탄 판매처 확보가 그 목적이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19일자 보도에 따르면 아다로 에너지의 가리
2017-12-21
내년 팜유 생산량이 증가할 방침이다. 인도네시아팜오일위원회(DMSI)측은 내년 팜원유(CPO)와 팜핵유(CPKO)의 내년 생산량이 4,200 ~ 4,3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생산에 적합한 기후 조건으로 인해 CPO와 CPKO의 생산
철강 수요 증가로 증산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철강 공업 협회(IISIA)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인프라 건설 사업의 가속화와 중국의 철강 수출 감소로 인도네시아 철강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올해 3분기(7 ~ 9월)의 철강 산업 성장률은 10%에 이르고 있어 증산 체제 강화가 급선무라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n
2017-12-20
인도네시아 석탄 광산 투자 기업 델타 두니아 막무르(PT Delta Dunia Makmur)의 올해 연간 매출액이 7억~7억 5,000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현지 언론 꼰딴 15일자 보도에 따르면 스테파니 최고 재무책임자(CFO)는 “매출과 EBITDA(이자·세금·감가 상각 전
2017-12-19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는 14일 북부 수마뜨라에서 트롤어업을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15일자 보도에 따르면 수시 해양수산장관은 14일 북부 수마뜨라 스르당 브다가이에서 북부 수마뜨라 어부 연합 소속 어부들과 회담을 가졌다. 어부들은 이 간담회에서 “트롤어업으로 어부들의 어획량이
띠마가 내년 설비 투자에 1.5조 루피아를 투입한다. 인도네시아 국영 주석 기업인 띠마(PT Timah Tbk)는 내년 설비 투자 금액을 1 ~ 1조 5,000억 루피아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생산 능력 증대 및 탐사활동 확대, 장비 및 선박 구입 등에 투입할 방침이다. 띠마 관계자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
미국계 정유회사 엑슨모빌 인도네시아(ExxonMobil Indonesia)는 내년에 쩨뿌 광구의 끄둥 끄리스 유전의 원유 생산 설비 건설에 착수, 2019년부터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액은 1억 달러로 일일 원유 생산량은 1만 배럴이다. 현지 언론 꼰딴 13일자 보도에 따르면
2017-12-15
인도네시아 농업부 농업 연구 개발청은 서부 자바 수방군 수까만디에서 자포니카 쌀을 대체할 품종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품종 개발로 수입에 의존하던 자포니카 쌀 품종이 국내에서 생산 유통된다. 현지 언론 인베스톨 데일리 13일자 보도에 따르면 품종 이름은 ‘따라바스(Taraba
인도네시아 재무부 재정정책기구(BPK)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관련 규정을 재검토할 계획이다. 2025년 인도네시아 에너지믹스에서 차지하는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비중을 23%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에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관련 규정을 수정하는 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자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는 12일 국영 전력 PLN과 프랑스의 3개 발전회사가 제출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건설에 대한 의향서(LOI)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프랑스의 3개 발전회사는 페이스 에너지(Pace Energy)와 에쿠이스 에너지 인도네시아(Equis Energy Indonesia), 아쿠오 에너지 인도네시
2017-12-14
쁘르따미나가 하류 사업에 투자한다.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 기업인 쁘르따미나 (PT Pertamina)가 내년 하류 사업 설비 개선에 7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쁘르따미나 측은 액화 석유 가스(LPG) 저온 저장 시설 및 연료 저장 터미널 건설, 방파제 확장 등에 투자금을 충당한다. 아울러 연료 공급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