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최대 저가항공사 라이온에어 그룹(Group Lion Air)은 4일 무료로 제공하던 국내 위탁 수하물에 대해 8일 예약분 항공편부터 유료화한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라이온에어의 국내선은 20킬로그램까지, 산하의 바띡에어(Batik Air)는 10킬로그램까지의 위탁 수하물이 무료였다. 향후는 노선에 따라 금
교통∙통신∙IT
2019-01-09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다중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회사인 베리타스(Veritas)는 인도네시아 국내에서 ‘스마트 시티’의 실현을 위해 정부 기관과 연계한다고 밝혔다. 자카르타글로브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고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에 대한 데이터 보호 등의 지원 외에
2019-01-08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의 관문인 수까르노-하따 국제공항을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국영 공항 운영사 앙까사 뿌라2(PT Angkasa Pura2, AP2)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에미레이트항공(Emirates Airline) 출발 터미널을 7일부터 3터미널로 이동한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5일까지 일본항공(J
인도네시아 EMS(전자기기 수탁 제조 서비스) 대기업 삿 누사쁘르사다(PT Sat Nusapersada)는 리아우제도주 바땀섬에 건설한 통신 장비 공장 조업을 이번 달에 시작한다고 밝혔다. 대만 페가트론(和碩聯合科技)의 라우터, 네트워크 카메라(IP 카메라) 모뎀 등을 생산한다. 새로운 공
인도네시아 교통부가 올해 국제선 여객 수는 전년 대비 14% 증가한 1억 6,200만 명에 이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인베스터 데일리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중 화물 수송량은 4% 증가한 129만 톤이 전망되고 있다. 공항 인프라의 정비가 진행되고 각 항공사의 서비스 확대가 그 배경에 있다. 인니 교
2019-01-07
싱가포르 배차 앱 그랩(Grab)는 올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공세를 이어갈 것이 라고 밝혔다. 본사업인 이륜 배차 서비스 외에 배달 서비스를 강화하고, 여행 예약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도 시작한다. 인도네시아 현지 유니콘 기업들과 배차 앱 대기업 고젝(Go-jek), 온라인 여행사인 트래블로카(Traveloka)와 정면 승부에 도전
인도네시아 중부 깔리만딴 빨랑까라야에 있는 띠질릭 리웃 공항의 운영 권한이 지난 1일부터 교통부에서 공항 운영사 앙까사 뿌라2(PT Angkasa Pura2)로 넘어갔다. 현지 언론 꼰딴 2일자 보도에 따르면 교통부의 항공교통국 뽈라나 쁘라므스띠 국장은 “운영 효율화를 위해 앙까사뿌라에게 운영권을 넘겼
2019-01-04
항공권 발권 및 호텔 예약 서비스 트래블로카(Traveloka)는 신사업 개발 및 기존 사업 개선을 통해 올해 인도네시아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지 언론 자카르타 포스트 2일자 보도에 따르면 트래블로카의 꾸르니아 로샤다 부사장(마케팅 담당)은 "올해 제품 다각화에 집중할 계획이다”라며 &l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PS)은 2018년 11월 기준 국내 항공 수송 승객이 7.6백만명으로 전월과 비교해 6.76% 감소했다고 밝혔다. 2018년 1월~11월 국내 승객 수는 8,620만명이었다. 국제선 승객 수는 150만명에서 140만명으로 5.97% 줄었다. 2018년 1월~11월 간 국제선 승객 수는 1,6
인도네시아의 수도권 전용노선 버스 트랜스자카르타(Transjakarta)가 2018년에 큰 성장을 보였다. 2018년 승객 수가 1억 9,770만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지 언론 꼼빠스 1일자 보도에 따르면 트랜스자카르타 운영사 트랜스포타시 자카르타(PT Transportasi Jakarta)의 아궁 위짝수
2019-01-03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에서 건설 중인 대량고속수송시스템(MRT)를 운영하는 주영 MRT 자카르타(PT MRT Jakarta)는 올해 3월에 운행 개시를 예정하고 있는 MRT의 1일 운행 대수 대해 평일 285대, 주말 219대라고 밝혔다. 인베스터 데일리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MRT 자카르타의 윌리엄 사장은 &l
샤프의 인도네시아 법인 샤프 전자 인도네시아(PT SHARP Electronics Indonesia, 이하 SEID)는 올해 국내 TV 시장에 중국산 수입품 증가해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인도네시아 2018년 12월 28일자 보도에 따르면 SEID 안드리 수석 본
2019-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