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유(CPO)가격 상승과 고수율종묘개발 > 전문가 칼럼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문가 칼럼 팜유(CPO)가격 상승과 고수율종묘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김용욱의 수요진단
작성자 jktbizdaily1 댓글 0건 조회 13,703회 작성일 2013-12-02 00:00

본문

 
팜유 (CPO, Curde Palm Oil) 가격이 최근 14개월 사이 최고치로 상승하여 전세계 1위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와 2위 말레이지아는 좋은 전망이 기대된다는 기사가 있었다. 실제 올 연초까지만 해도 2012년 톤당 950달러 대비 하락한 CPO 가격은 톤당 700~800달러 시세가 올 3분기까지 지속되었었다. 그러나 지금은 톤당 975달러 현물시세로 갑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말레이지아 파생상품 거래소에선 내년 2월 인도물 CPO 선물 가격이 톤당 828달러 수준이라고 하니 팜유업계와 두 나라 정부로서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CPO가격 상승의 요인은 수급전망 때문이다. 첫 번째로 올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지아 폭우에 인한 수확차질로 생산량이 줄어들어 전년대비 15~20% 감소가 예상된다고 한다. 두 번째는 달러 양적완화 이후 퇴출전략 움직임에 의한 인도네시아 루피아와 말레이지아 링깃의 환율약세로 달러 수출가격 경쟁력 상승이 발생했다. 이는 전세계적 식용 팜유 지속적 수요증가의 원인으로도 작용했다. 세 번째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 중인 바이오 디젤의 의무혼합 사용 및 비율 확대 정책에 의해 원료인 CPO의 수요 증가 예상이 추가로 발생한 것이다.    
팜유는 전세계의 식용 식물성 기름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래 바이오 디젤 원료로 주목 받는 유망한 농업 비즈니스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전세계 약 6천만톤 수준의 CPO 생산량의 85%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지아가 차지한다. 그래서 팜유의 원산지를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지아로 알고 계실지도 모르나 유래는 서부 아프리카가 원조다. 이런 팜유를 1970년대 말 말레이지아가 먼저 아프리카 전체 생산량보다 추월하게 된다. 그리고 1990년대 초 두번째로 아프리카 전체 생산량을 추월한 인도네시아는 현재 말레이지아 마저도 추월한 상황이다.
30년 여 년 동안 어떻게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지아는 CPO 주력생산국으로서 변모하게 되었던 것일까. 물론 첫 번째는 식용유 가공기술 향상 및 세계 팜유 수요의 급증이다. 식물성 식용유지로의 수요증가뿐만 아니라 비누, 화장품, 세제, 윤활유 그리고 바이오 디젤까지 활용폭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두 번째로는 팜유 재배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산주체가 국영기업이 아닌 사기업 대규모 플랜테이션 구조였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물론 국영기업이 전혀 없다는 건 아니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외국기업이 독립 후 국유화 조치로 국영기업화 된 업체들 외 그 이후론 분명 사기업 플랜테이션 구조였다고 할 수 있다.
세계 선점 1위 팜유 비즈니스를 가지게 된 인도네시아가 현재 년간 27백만톤 생산규모를 2020년까지 40백만톤까지 늘리겠다고 한다. 그러나 가격이 좋다고 무한정 팜유 플랜테이션 경작지를 늘릴 수 만은 없다. 전세계 NGO나 환경단체들로부터 생물다양성 및 산림보호 압박이 심한 인도네시아이기 때문이다. 최근 인도네시아 팜유 생산자협회 Gapki는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고수율 팜유종묘를 개발하여 극복하겠다는 발표는 매우 고무적이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경작면적 1헥타르당 CPO생산량 평균은 3.8톤이고 소규모 플랜테이션은 2~3톤으로 훨씬 더 낮다. 말레이지아 평균 생산량 1헥타르당 4.5톤 수준과의 차이를 유전자 기술과 육종개발로 경작면적은 늘리지 않고 생산성 향상에 성공한다면 인도네시아 팜유사업의 미래가치는 지금보다 휠씬 더 클 거란 생각이다.
물론 세계 팜유수요가 무한정 증가할 것인지 의문과 논쟁도 있고 생산성 향상으로 공급량이 늘어 가격폭락이 일어나면 무슨 이득이냐고 반문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농업기술의 발전과 함께 단위면적당 생산량 증대는 가격하락과 수요증가를 이끌어 온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공급량이 늘어나면 시장가격 하락은 당연한 경제현상이고 소규모 소작농으로선 힘든 싸이클을 견뎌야 한다. 그래서 대규모 플랜테이션과 단위면적당 과학적이고 획기적 생산증대가 가격하락과 수요증가 싸이클에서 지속적 수익확보 구조가 가능하다. 농업이 글로벌화 대기업화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CPO 가격이 좋으니 인니 정부는 9% 이던 수출세를 이달부터 12% 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사기업들의 치열한 플랜테이션과 시장에서 싸워온 팜유를 정제도 안하고 이득을 챙기는 느낌을 받는다. CPO 수출세로 늘어난 국가재정을 고수율 팜유종묘개발 연구비용으로 사용해 주시길 바란다. 팜유가 인도네시아에 소개된 건 네덜란드 점령기인 1848년 보고르 식물원에 식재되면서 소개되었다고 하니 벌써 160년도 넘었다. 1년생 작물과는 달리 육종개발에 시간이 많이 필요한 식물종묘연구인데 방치한 시간치고는 너무 길었다. 지금이라도 팜유종묘개발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한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