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건너간 印尼 노동자들…“유니클로, 미납임금 지불하라”
본문
일본 SPA(저가) 브랜드 유니클로에 인도네시아 하청 공장 노동자들이 미납된 임금과 퇴직금을 지불하라며 4년째 투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보도에 따르면, 일부 노동자들은 도쿄까지 건너가 시위하고 있지만 유니클로는 이들과의 만남을 거부하고 있다.
인니 유니클로 하청 공장 ‘자바 가르민도(Jaba Garmindo)’ 공장이 2015년 4월
파산한 이후, 약 2,000여 명의 자바 가르민도 공장 노동자들이 유니클로에 퇴직금과 미납 임금 지불을 요구하며 4년째 투쟁 중이다.
해고된 공장 노동자들 중 일부가 이달 도쿄로 건너가 유니클로 지점 앞에서 시위를 하는 등 투쟁을 이어갔고 유니클로는 공장 노동자들과의 만남을 거부
했다.
노조 대표 세나디 뿌뜨라는 "유니클로가 만남을 거부해 실망스럽지만 우리는 싸움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유니클로는 2014년 9월 인도네시아 자바 가르민도 공장에 주문을 취소했다. 의류의 품질과 납기지연이 이유였다. 2015년 4월 자바 가르민도 공장은 결국 파산했다. 2,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자바 가르민도 공장 노동자들을 지원하고 있는 클린클로즈캠페인(CCC)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노동법에 따라 공장 노동자들이 받아야했던 최소 550만 달러(약 63억원)에 달하는 퇴직금과 임금 역시 미납된 상태다.
CCC는 유니클로의 계약파기가 자바 가르민도 공장을 파산으로 몰아간 가장 큰 이유라고 주장한다. 유니클로가 요구한 높은 생산량 목표를 위해 노동자들은 매일 같이 잔업을 해야했고, 설비 역시 증설해야했기 때문이다.
자바 가르민도 공장 노동자였던 레나 나피뚜뿔루는 "근무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까지였지만 매일 같이 밤 10시까지 일을 해야했다"면서 "몇 시간을 더 일해도 잔업수당은 하루에 무조건 8,000루피아(약 600원)였다"고 말했다.
유니클로는 자바 가르민도 공장 폐쇄 이후 공장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한 것이 아니라며 책임을 피했다. 유니클로의 모회사인 패스트리테일링은 "자바 가르민도 사태에 법적 책임이 없다"면서 "당시 도의적으로 공장노동자들에게 인근 공장의 재취업을 권했으나 노조가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CCC의 동아시아 지부 대표인 존슨 영 칭인은 "유니클로와 달리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다른 패션 대기업들은 해외공장을 폐쇄하거나 계약을 정리할 때 공장노동자들의 미지급 임금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했다"고 일침을 가했다.
SCMP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점점 더 많은 회사들이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동남아 국가로 옮기는 상황에서, 인도네시아 노동자들의 투쟁은 세계적인 패션회사들이 동남아 생산기지 노동자들을 얼만큼 착취하고 있는지 주목하게 한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