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인도네시아의 독립기념일은 8월17일 정치 최고관리자 2014-08-15 목록
본문
<한 눈에 보는 인도네시아 근대사>
-수카르노 대통령 시대(1945~1966)
네덜란드에 의해 430년간 식민지배를 받던 인도네시아는 2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1945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독립이 선포되었고, 수카르노(Sukarno)와 하따가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 부통령으로 각각 취임하였다. 그러나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의 재식민지화를 꿈꾸자 인도네시아는 4년간에 걸쳐 독립 무력항쟁을 계속하였고, 그 결과 1949년 11월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인정하는 협정에 서명하였다. 마침내 1949년 12월 인도네시아는 완전한 독립을 맞이하게 되었고 1950년 9월 유엔 회원국이 되었다. 이후 수카르노 대통령의 건강상태가 급격히 악화되자 1965년 9월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은 수카르노 사후에 예상되는 정세에 대처하기 위해 군부의 기선을 제압할 목적으로 쿠데타를 일으켰으다. 그러나 당시 수하르토 전략사령관을 중심으로 하는 군부의 신속한 진압 때문에 실패했다.
• 수하르토 대통령 시대(1966~1998. 5)
수하르토(Suharto) 전략사령관은 1966년 3월 수카르노 대통령으로부터 실권을 이양 받고, 1968년에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래 계속 연임, 32년간의 장기집권을 해왔다. 하지만 1998년 5월에 발생한 소요ㆍ폭동 사태로 인해 권좌에서 물러나 하비비 부통령에게 대통령직을 이양하게 된다.
• 하비비 대통령 시대(1998. 5~1999. 10)
유숩 하비비(Bacharuddin Jusuf Habibie) 대통령은 취임이래 개혁정치를 표방하였으나, 재임 중 동티모르 사태, 발리 은행 스캔들, 수하르토 전 대통령에 대한 법적 처리문제, 대학생 소요에 대한 군경의 강경진압에 따른 후유증 등 수하르토 전정권의 정치적 유산을 치유하지 못하자 짧은 재임기간중 정치ㆍ사회적 갈등 및 불신이 지속되었다. 1999년 10월 하비비 대통령은 대선을 앞두고 국민협의회(MPR)에서 국정소명연설을 하였으나 표결 끝에 거부되자 골카르당의 대통령 후보를 사퇴하게 된다.
• 와히드 대통령 시대(1999. 10~2001. 7)
국민협의회(MPR)는 1999년 10월 대통령선거에서 압둘라만 와히드(Abdurrahman ad-Dakhil Wahid)를, 그리고 익일 부통령선거에서는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여사를 부통령으로 각각 선출함으로써 인도네시아는 33년 만에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국민협의회는 와히드가 2건의 금융횡령 사건에 연루된 것을 비롯하여 잦은 각료 해임, 무능함 등의 이유로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여, 2001년 7월 와히드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되고 새 대통령으로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가 취임하게 된다.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대통령 시대(2001. 7~2004. 10)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Megawati Sukarnoputri)는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인 수카르노의 딸로, 와히드 대통령이 탄핵된 후 새 대통령으로 취임해 와히드의 잔여 임기인 2004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 시대(2004. 7~ 2012 현재)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Susilo Bambang Yudhoyono)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육군 장성 출신으로 2004년 7월 대통령선거에 당선되어 취임하였고, 2009년 대통령 재임에 성공하였다.
수하르토(Suharto) 전략사령관은 1966년 3월 수카르노 대통령으로부터 실권을 이양 받고, 1968년에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래 계속 연임, 32년간의 장기집권을 해왔다. 하지만 1998년 5월에 발생한 소요ㆍ폭동 사태로 인해 권좌에서 물러나 하비비 부통령에게 대통령직을 이양하게 된다.
• 하비비 대통령 시대(1998. 5~1999. 10)
유숩 하비비(Bacharuddin Jusuf Habibie) 대통령은 취임이래 개혁정치를 표방하였으나, 재임 중 동티모르 사태, 발리 은행 스캔들, 수하르토 전 대통령에 대한 법적 처리문제, 대학생 소요에 대한 군경의 강경진압에 따른 후유증 등 수하르토 전정권의 정치적 유산을 치유하지 못하자 짧은 재임기간중 정치ㆍ사회적 갈등 및 불신이 지속되었다. 1999년 10월 하비비 대통령은 대선을 앞두고 국민협의회(MPR)에서 국정소명연설을 하였으나 표결 끝에 거부되자 골카르당의 대통령 후보를 사퇴하게 된다.
• 와히드 대통령 시대(1999. 10~2001. 7)
국민협의회(MPR)는 1999년 10월 대통령선거에서 압둘라만 와히드(Abdurrahman ad-Dakhil Wahid)를, 그리고 익일 부통령선거에서는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여사를 부통령으로 각각 선출함으로써 인도네시아는 33년 만에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국민협의회는 와히드가 2건의 금융횡령 사건에 연루된 것을 비롯하여 잦은 각료 해임, 무능함 등의 이유로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여, 2001년 7월 와히드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되고 새 대통령으로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가 취임하게 된다.
•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대통령 시대(2001. 7~2004. 10)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Megawati Sukarnoputri)는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인 수카르노의 딸로, 와히드 대통령이 탄핵된 후 새 대통령으로 취임해 와히드의 잔여 임기인 2004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 시대(2004. 7~ 2012 현재)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Susilo Bambang Yudhoyono)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육군 장성 출신으로 2004년 7월 대통령선거에 당선되어 취임하였고, 2009년 대통령 재임에 성공하였다.
자료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이전글인니 이슬람단체, 몸매 드러나는 여성옷 금지 2014.08.14
- 다음글외국인 근로자 고용 시 인니인 파트너 지정해야 2014.08.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