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방지시스템 오작동 상정…NYT "조종사들 대응훈련 제대로 안 받아" "보잉, 오작동 줄이고 조종사 통제 강화하는 방향으로 시스템 수정" 작년 10월 189명이 숨진 인도네시아 라이온 에어 항공기 추락 사고 당시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 비행에서 사고 원인 중
사건∙사고
2019-03-28
수까르노-하따 국제공항 경찰은 지난 22일 제3터미널에서 인도네시아 국영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PT Garuda Indonesia)의 조종사로 위장한 한 남성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알빈이라는 이름으로 확인된 이 남성은 22일 오전 11시 40분께 가루다 항공 카운터에서 체크인 시 조종사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이 남성
2019-03-27
157명의 사망자를 낸 보잉 737맥스(MAX)8 기종의 추락사고에도 에티오피아항공 측이 보잉사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는 사고 기종의 인도를 지연하거나 주문 자체를 취소한 인도네시아 측과는 다른 대응이어서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BBC방송 등에 따르면 트왈데 게브레마리암 에티오피아항공
사회∙종교
서부 자바 주 데뽁(Desok) 시 교통국은 도시 내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2층 투어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부 자바 행정부는 2층 버스 중 하나를 데뽁 시 지방 자치 단체에 전달했으며, 이 버스는 반둥에서 운영 중인 관광객용 2층 투어버스 ‘반드로스(Bandros)’와 같다.
물도꼬 인니 농업인협회장(오른쪽)과 조꼬위 인도네시아 대통령 인도네시아 농업인협회(HKTI)는 최근 열린 전국 대회를 통해 오는 4월 대선에서 조꼬 위도도 대통령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HKTI의 물도꼬 회장은 22일 자카르타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농가의
정치
인니 부호 2위 마이클 하르또노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가 최근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라는 제목으로 빌리어내어(억만장자) 특집을 펴냈다. 자산 10억 달러(1조1천265억원) 이상을 보유한 전 세계 억만장자를 망라한 것으로 총 2천153명이 포함됐다. &nbs
인도네시아 끄라까따우 스틸(PT Krakatau Steel) 임원을 포함한 4명이 뇌물수수혐의로 인도네시아당국에 적발됐다. 25일 자카르타포스트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부패방지위원회(KPK)는 국영 철강업체 크라까따우 스틸 임원 등 4명을 조달프로젝트와 관련한 뇌물수수 혐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시장조사 회사 닐슨은 21일, 오는 4월 17일 열리는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과거 3차례 개최된 후보자 공개 토론회에 대한 TV 중계에서 방영한 방송국수나 시청률이 지난 대선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조사는 수도 자카르타를 포함한 11개 도시에서 실시됐다. 토론회를 중계한 방송사의 수는 지난 2014년 7개
2019-03-26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특별 주에 새로 건설되는 경기장의 기공식이 지난 14일 건설 장소인 북부 자카르타 딴중 쁘리옥에서 열렸다. 완성은 2021년 중순 예정이다. 자카르타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새로운 경기장의 명칭은 ‘자카르타 인터내셔널 스타디움(Jakarta International Stadium)&rsqu
문화∙스포츠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해상에 추락한 라이온에어 보잉 737 맥스8 여객기 사고 희생자 유족들이 부당한 보상금 합의를 강요받았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1일 보도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라이온에어는 사고 유족들에게 13억루피아(약 1억4,00만원) 상당의 정부 위임 보상금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서약서 서명을 요구했으며, 이는 인
아기 오랑우탄을 밀반출해 애완용 동물로 키우려던 러시아 관광객이 인도네시아 공항에서 체포됐다고 AFP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안드레이 제스트코프(27)는 22일 러시아로 돌아가기 위해 발리 덴빠사르 공항의 보안 검색대를 지나다가 공항 직원에 적발돼 억류됐다. 뭔가 수상하다고 느낀 공항 직원들이 제스트
할리우드가 차세대 영화시장으로 인도네시아를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할리우드가 인도네시아를 주목하는 데는 세계 4위 인구를 보유한 대국으로 최근 이틀에 한 개 꼴로 새로운 극장이 문을 여는 등 영화산업 성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인도네시아 전역에는 할리우드 스튜디오와 더불어 한국, 중국, 싱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