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는 오는 4월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선거 운동을 시작하는 등 벌써부터 뜨거운 열기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는 대통령제 첫 시행이후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동시에 실시하는 만큼 인도네시아 전 국민의 이목이 선거에 쏠려있다. 대통령 후보로는 조꼬 위도도 현 대통령과 쁘라보워 수비안
정치
2019-01-08
발리의 유명 비치 클럽에서 최근 관광객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발리 바둥 경찰 관계자는 지난달 31일 북부 꾸따 지역 고급 비치 클럽인 '포테이토 헤드 비치 클럽(Potato Head Beach Club)'에서 오스트리아 관광객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자카르타포스트 등 현지 언론
사건∙사고
남부 땅으랑 지역에서 지난해 이혼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는 소셜미디어와 경제 문제 등으로 촉발된 것으로 분석됐다. 자카르타포스트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남부 땅으랑 지역에서는 지난해 3,500쌍의 이혼 소송이 진행됐다. 남부 땅으랑 종교 사무소 측은 2017년 3,000
사회∙종교
지난 5일 인도네시아 현지 매체 스람비인도네시아(Serambi Indonesia)는 살인 혐의로 교도소에 수감돼 있는 남자친구에게 누드 사진을 몰래 보내다 들통이 난 여경의 황당한 소식을 전했다. 인도네시아에서 경찰로 근무하고 있던 여성 드위(Dewi)는 SNS를 통해 꼼뽈(Kompol)이라는 남성을 처음 알게 됐다. 서로에게 급격한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 홈페이지 캡처 인도네시아 말루꾸 제도 인근 해저에서 7일(현지시간) 오전 2시27분 규모 6.6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가 밝혔다. 지진은 북(北) 말루꾸의 또벨로(Tobelo) 서쪽 151km 해저에서 발생했으며, 진원의 깊이는 40km다.
지난 10월 31일 인도네시아 의회(DPR, 하원)는 2019년 국가 예산안을 승인했다. 인도네시아의 2019년은 대선과 총선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해로 정치경제환경과 정책적 변화도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표된 2019년 예산안에 따르면, 올해 경제 정책의 전체적인 틀은 지난해와 크
2019-01-07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PS)이 2일 발표한 관광·교통 통계에 따르면, 2018년 11월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외국인 여행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8% 증가한 약 115만명이었다.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7월말 이후에 발생한 롬복 지진과 9월 중부 술라웨시섬 지진 등 잇따른 자연 재해가 영향을 미
문화∙스포츠
인도네시아인 시띠 아이샤(오른쪽)와 베트남인 도안 티 호엉 말레이시아 정부가 살인죄 등에 적용하는 사형제도의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올해 3~4월에 열리는 연방의회 하원에 관련법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 법안이 통과되면 북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복형인
조꼬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재선에 반대하는 무슬림 강경파의 시위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킨 우사마 무함마드 알-슈아이비 인도네시아 주재 사우디아라비아 대사. 조꼬 위도도(일명 조꼬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재선에 반대하는 무슬림 강경파의 시위를 지지한 현지 주재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가 논란 끝에 교
2019년 새해 연휴 기간 동안 서부 자카르타에 위치한 자카르타 역사 박물관(Jakarta History Museum)과 빠따힐라 광장(Fatahilah Square)을 찾은 방문객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적인 주말과 비교했을 때 방문객 수는 급증했지만, 전년 동기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다.
인도네시아 국가전략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국가우선개발인프라사업위원회(KPPIP)는 지난달 35개 컨설팅 기업으로 구성된 컨설턴트위원회를 설치하고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의 보도에 따르면, KPPIP의 와휴 실행위원장은 "위원회의 결성으로 사전 심사 과정을 1~2개월 단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가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PS)이 최근 발표한 '2017년 정보통신기술(ICT) 개발지수(IP-TIK)'는 4.99로 나타났다. 전년의 4.34에서 0.65포인트 상승한 결과다. ICT 개발지수는 국내 ICT 확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중앙통계청이 조사를 시작한 지난 2015년 이후 3년 연속 지수가 상승했다.
2019-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