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를 쓴 반부패 활동가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부패척결위원회(KPK)가 2019-2023년 기간 중 KPK 유치장 수감자들을 갈취한 유치장 직원 15명을 형사피의자로 입건하면서 지난해 11월 피를리 바후리 전 위원장의 퇴진을 포함해 그간 끝없이 거듭되어 온 반부패 기관의 추락에 종지부를 찍으려 시도하
2024년 2월 4일, 서수마뜨라 빠사만 군에서 포획된 암컷 호랑이가 마취총을 맞고 우리 안에서 자고 있다. (사진=안따라/Iggoy el Fitra) 수마뜨라에서 인간과 호랑이의 갈등으로 급기야 마을 주민들이 당국과 충돌하는 상황까지 벌어지면서 환경론자들은 인간과 야생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예방할 것인지 정부가 좀 더 진지하게 고민
수까르노 하따 국제공항(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 무역부 줄끼플리 하산 장관은 지난 17일, 수입 정책 및 규정에 관한 2023년 무역부장관령 36호의 일부 시행을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입 규정으로 인해 여러 협회 및 대중으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면서 이같은 결정이
자카르타 수디르만 상업지구(SCBD)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인도네시아 국회와 정부는 신수도 이전을 공식화하기 앞서 자카르타의 특별지위를 지정하는 법안 심의에 착수하면서 수도권 위성도시들 대부분을 아우르는 이른바 ‘자카르타 광역도시’ 개발을 감독하는 새로운 위원회를 당초 부통령 책임 하에 두기로 했다가 해당 조항을 폐기하고 그 대신
인도네시아 공군 창설 78주년 기념식.2023.10.5(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군경 고위급 인사들이 전역하지 않고도 정부 내 민간 부문 공직을 맡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관련법 개정안이 과거 수하르또의 신질서시대 현역 군인들이 정부와 내각 요직을 차지하던 드위풍시(dwifungsi) 시스템 복귀를 허
■ 경제/사회/종교/교육 -아이르랑가 경제조정장관, 2025년 부가세율 12%로 올리기로 (3월 8일, 꼼빠스닷컴) - 교육문화연구기술부는 나딤 마까림 장관이 도입한 정책들을 오는 10월 정권 교체 전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인 유아교육센터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 해당 부처의 교육정
■ 2024 대선/총선 관련 -시레깝(Sirekap)은 C1.Hasil로 알려진, 수동 집계된 투표결과를 업로드해 KPU 선거 웹사이트에 실시간 개표상황을 디지털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시스템. 하지만 대통령 차남이 당대표로 있는 인도네시아연대당(PSI) 득표율이 이유없이 폭등하면서 시스템 신뢰성이 더욱 의심받는 중 (3월 8일, 자
(인스타그램 계정@undercover.id 영상 캡처) 지난 3월 13일 미쓰비시 Xpander 차량이 고급차 전시장으로 돌진하면서 앞에 전시되어 있던 포르쉐 911 GT3를 들이받아 포르쉐의 앞부분이 크게 파손됐다. 14일 인스타그램 계정@undercover.id 에 올라온 영상에는 PIK(P
2023년 2월 27일 폭우로 침수된 서부자바 브까시 땀분 지역(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Aditya) 인도네시아 국가방재청(BNPB)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12일(화)까지 서수마뜨라에서 발생한 홍수와 산사태로 최소 32명이 사망했고 가장 피해가 큰 남부 해안지역에서는 아직 여섯 명이 실종된 상태다. 13일 자카르타포스트
2023년 1월 18일 나병 환자였던 하르또가 땅그랑의 한센인마을 '깜뿡 꾸스따'의 자택 앞에서 휠체어에 앉아 있다 (사진=AFP/Bay Ismoyo) 치명율이나 장애를 남기는 빈도가 높지만 감염자는 많지 않은, 그래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열대질병을 소외열대질병(neglected tropical diseases), 줄여서 NTD라고
수까르노 하따 공항 제3터미널 (사진=자카르타경제신문) 지난 10일 시행된 수입 정책 및 규정에 관한 2023년 무역부장관령 36호 관련하여 인도네시아 무역부 줄끼플리 하산 장관은 대중으로부터 많은 불만을 접수했다고 인정하며 곧 추가 논의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CNBC인도네시
선거부정 조사를 요구하는 여러 시민단체들이 3월 3일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 타이어를 불태우며 시위를 벌였다. (사진=안따라/Galih Pradipta) 인도네시아 선거관리위원회(KPU)의 2월 14일 치러진 선거의 개표결과 최종 발표를 불과 2주 앞두고 시민사회단체들이 국회의 각 정당들에게 부정선거 국회 조사를 조속히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