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위생규율을 위반해 징수한 벌금액이 32억 7000만 루피아에 달한다고 밝혔다. 위반건수는 570만건이었다. 13일 꼼빠스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19 국가경제부흥대책위원회의 가똣 에디 쁘라모노 부위원장은 “9월 14일~10월 11일 간 징수한 벌금액이 총 32억 7,000만 루피아였다&rdqu
사회∙종교
2020-10-15
인도네시아 서부자바주 브까시군의 올해 시·군 업종별 최저임금(UMSK)이 전년 대비 8.51%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등으로 UMSK가 하반기까지 늦어진 것은 이례적이다. 주정부는 9월 말 “기업과 근로자 간 합의에 따라 적용한다”라며 “코로나19 재난으로 고통받는 기업은 노
인도네시아 재난청, 한국에 '코로나19 대응 지원' 감사패[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제공=연합뉴스] 인도네시아 재난방지청(BNPB)이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도움을 준 한국 정부·기업·국민에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주인도네시아 한국 대사관에 '코로나19 대응
2020-10-14
인도네시아 영화관업자연합(GPBSI)이 자카르타 영화관 영업 재개와 관련해 14일 협의를 나눈다. 자카르타특별주가 12일부터 대규모사회적제약(PSBB)을 12일부터 다시 완화했지만, 영화관은 아직 영업을 재개하지 않았다. 12일 꼼빠스 보도에 따르면 자카르타특별주는 영화관 내 인원을 25% 이하로 제한하며 손님 간 간격을 1.5미터 이상 거리
인도네시아 아니스 바스웨단 자카르타특별주지사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특별주 아니스 주지사는 10일, 무하마드 탄신일인 28일부터 5일간의 연휴 동안 가족 모임을 통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집단감염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며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호소했다. 11일 안따라뉴스 보도에 따르면 아니스 주지사는 “9월 감염자 수가 급
인도네시아 법무인권부는 특정 목적을 위해 인도네시아를 방문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방문비자(Visa Kunjungan)와 임시체류비자(Visa Tinggal Terbatas/VITAS) 발급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내용은 법무인권부가 1일 발효한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에 따른 외국인의 인도네시아 방문 비자와 체류 비자에 관한 법무인권장관령
2020-10-13
인도네시아 조꼬 위도도 대통령이 9일 일자리 창출 옴니버스 법안의 정당성에 대해 호소했다. 일자리 창출 옴니버스 법안에 대한 반대 시위가 격화됨에 따라 조꼬 위도도 대통령은 9일 첫 공식 기자회견을 열어 “옴니버스 법안은 고용기회를 확대 및 창출하고 허가절차를 간소화해 중소영세기업활동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불투명한 행정절차
지난 10일 자카르타 글로브지에 따르면 최근 새로 통과된 일자리 창출법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전국적으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전파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많은 사람들이 얼굴을 가리지 않은 채 자카르타, 수라바야, 반둥 등 바이러스가 창궐하고 있는 대도시에서 시위를 벌였다. 아니스 자
2020-10-12
9월 13일 아니스 바스웨단 자카르타 주지사는 기자회견 모습 자카르타주 정부는 10월 12일부터 10월 25일까지 2주 동안 대규모사회적제약 전환기 (PSBB transisi)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11일 자카르타주정부의 웹사이트에서 서면으로 발표됐다. 자카르타주
2020-10-11
코로나19 격리호텔서 정화의식 하는 힌두교 제사장[발리포스트·재판매 및 DB 금지] 발리공항 "이달 말 인천서 한국 관광객 특별기 띄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격리시설로 지정된 인도네시아 발리 호텔에 '귀신'을 봤다는 목격담이 이어지
2020-10-09
인도네시아 의회에서 5일 일자리 창출에 관한 옴니버스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쁘리부미경영자협회(HIPPI)는 세칙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7일자 뗌뽀 보도에 따르면 이 협회의 살만 자카르타지부장은 "우선 대통령령과 각 장관령으로 세칙을 제정해 옴니버스법이 실제로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법 제 85조에서 &
인도네시아 동부자바주의 코피파 주지사는 6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 위험지역(레드존)이 0이 되었다고 밝혔다. 한때 신규 감염자가 국내에서 가장 많았으나 지난달부터 감소 추세에 들어섰다. 코피파 주지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6일 저녁 코로나19 대책본부에서 동부자부주의 레드존이 없어졌다는 보고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