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카, 인도네시아 코로나 극복을 위해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 나선다 > 한인소식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이트 내 전체검색

코이카, 인도네시아 코로나 극복을 위해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 나선다

대사관∙정부기관 작성일2020-11-20

본문

‘코이카-인도네시아 적십자 간 지역사회 코로나19 방역대응 역량강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정회진 코이카 인도네시아 사무소장, 박태성 주인도네시아 대사, 유수프 칼라(Jusuf Kalla) 인도네시아 적십자 대표, 수디르만  사이드(Sudirman Said) 인도네시아 적십자 사무국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코이카 제공)
 
 - 코이카-인도네시아 적십자(PMI) 업무협약 체결
 - 공공시설 방역, 지방 병원 역량강화 등 코로나19 대응 취약한 지역사회 지원
 
대한민국 개발협력 대표기관 코이카(KOICA, 이사장 이미경)는 19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적십자(PMI)와 코로나19 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인니 지역사회의 공공시설 방역과 지방병원 역량강화 지원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적십자 대회의실에서 체결된 이날 약정식에는 박태성 주인도네시아 대사, 정회진 코이카 인도네시아 사무소장, 유수프 칼라(Jusuf Kalla) 인도네시아 적십자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지원사업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다 함께 안전한 세상을 위한 개발협력구상(ODA KOREA: Building TRUST)’의 일환으로 코이카가 추진하는 ABC프로그램에 의해 추진됐다.
 
18일 현재 기준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코로나19 최다 감염국으로 누적 확진자 수는 약 47만명, 사망자 수는 무려 1만 5천여명에 달한다. 인니 정부는 전국단위의 대규모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을 펼치고 있으나 이달 들어 일일 확진자 수가 5천명대로 치솟는 등 확산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여기에 인도네시아에서는 34개 주 내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설상가상 크고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지리적 특성으로 지역 간 의료격차는 점차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의료 인프라와 전문 인력 등 주요 자원을 전국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적 코로나19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약정에 따라 코이카와 인도네시아 적십자는 내년 9월까지 50만 불(한화 약 6억 원) 규모로 인니 전국 34개주 450개군에서 ‘지역사회의 코로나 대응 역량강화 사업’을 실시한다. 코이카는 적십자회 의료진, 보건요원과 의료 봉사자 등 약 100만명의 코로나19 대응현장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전국 공공시설 대상 방역 서비스 제공 △TV 공익광고, 라디오, 신문, 생활 정보지를 통한 코로나 방역수칙 캠페인 △코로나19 정보 통합 관리 네트워크 구축 △지방 코로나19 전담병원 역량강화 지원 활동을 진행한다. 
 
또한 기존의 인도네시아 적십자의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방정부 간 소통체계를 구축하고 코로나19 대응 성과를 공유하고 홍보해 나갈 계획이다. 국제 적십자회 사이트를 통해 각종 교육자료와 홍보물을 대중, 정부부처, 보건의료 기관, 대학, 연구소 등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예정이다. 
 
코이카와 인도네시아 적십자는 지방정부 중심으로 코로나 대응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장기적 관점에서는 지역 간 의료격차를 해소하고, 인도네시아의 범국가적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해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회진 코이카 인도네시아 사무소장은 “우리 정부는 올해 60억 원을 투입해 인니에 코로나19 포괄적 긴급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며, 취약계층 지원과 국가차원의 재난 대응 역량강화를 중심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수프 칼라(Jusuf Kalla) 인도네시아 적십자 대표는 “코이카와 인도네시아 적십자 간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공공 의료체계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간 의료수준 격차를 해소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코이카는 개도국들이 코로나19로 인한 보건의료 위기상황을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이상 4개국과 5개 아세안 공적개발원조(ODA) 지원대상국(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 및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Africa CDC)를 중심으로 ‘포괄적 긴급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공지사항

Copyright © PT. Inko Sinar Media.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